경제·금융

[증시기상대] 연중 최고치 마감

1. 마감시황 ▶ 전일 미국증시의 반등 성공과 함께 외국인 매수세가 3,000억원 가까이 들어오며 큰 폭의 상승세로 마감. ▶ 매도물량을 지속적으로 출회하던 프로그램 역시 매수세로 전환되며 연중 최고 지수로 마감하는 모습. 2. 마감지수 거래소 813.11P (+16.80P, 2.11%) 코스닥 46.97P (+0.66P, 1.43%) 3. 특징주 # 반도체주 - 미 증시에서 반도체주들이 상승마감한 영향으로 강세. - 미국시장에서는 반도체주들이 강세. 필라델피아반도체지수는 3.37% 상승하는 가운데, 인텔이 2.07%, AMD가 8.78% 상승하는 등 반도체 관련주들이 랠리의 촉매제 역할. #은행주 - 국민은행(060000)이 5%대의 급상승세를 지속, 52주 최고가를 경신했으며, 외국계 창구로 매수세가 몰린 한미은행(016830) 역시 4%대의 오름세로 52주 최고가 경신 - 대구은행 부산은행 전북은행도 1∼2%대의 강세행진. - 전날 52주 최고가를 기록했던 우리금융도 1% 안팎의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신한지주는 2.65% 오른 1만9300원으로 52주 최고가를 경신. #현대상사(011760) - 정상화 기대감에서 이틀째 상한가 행진 - 현대상사는 전날 채권금융기관과 합의한 양해각서(MOU)상의 당초 자구계획 117억원보다 201% 많은 352억원의 미수금을 전액 현금으로 회수했다고 밝힘. - 회사측은 “지난 7일부로 관리종목 지정요건중 주가부분은 우선 해소된 상태”라며 “관리종목 탈피를 위해 납입자본금 대비 자기자본비율 50%를 초과해야하는 만큼 순자산 가치를 높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 - 이어 "대손충당금 환입효과와 상여금 반납 등 경영전반에 걸친 경비절감 노력에 힘입어 순자산가액이 상반기보다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말함. #LG화재(002550) - 지난 2분기(7∼9월) 기대 이상의 투자영업 이익을 달성한 LG화재가 증권사의 호평에 힘입어 급등세 - 이날 현대증권은 LG화재의 주가상승 탄력이 손해보업주 가운데 가장 클 것이라면서,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적정주가는 7000원을 제시. - 현대증권은 "투자이익이 예상보다 크게 늘어 LG화재의 2분기 수정 당기순이익이 추정치를 웃돌았다"면서 "올 회계연도 예상 수정 ROE는 19.7%로업계에서 가장 높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힘. 4. 오늘밤(11/12) 美증시 주요일정 및 영향 ※ 사흘간의 하락세를 접고 미 증시는 전일 반등에 성공. 반등의 요인으로는 주말 경제지표 호전에 대한 기대감,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 실적개선 가능성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어플라이드머티리얼즈는 4분기에 흑자로 전환했다고 밝혀 기술주가 반등가능성을 높여주고 있음. 금일 발표되는 경제지표중 투자자들은 최근 호전되기 시작한 고용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은 상태로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에 관심이 집중될 전망. 그러나, 경제지표로 인한 효과에 대해서는 중립적. 고용지표의 호전은 이미 충분히 알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이보다는 반도체주의 상승지속 여부 및 장마감후 발표될 델컴퓨터의 분기 실적과 다음날 발표된 10월 산업생산의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 ※ 금일 발표되는 경제지표로는 10월 수출입 물가, 9월 무역수지,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10월 생산자물가지수(PPI) 등이 있음. 실업수당 신청자 수가 직전주의 348,000명보다 증가한 365,000명일 것으로 전망. 10월 PPI는 5개월 연속 상승하며 0.2% 상승했을 것으로 예측. 변동성이 큰 식품 및 에너지 가격을 제외한 근원 PPI는 보합세를 기록했던 9월에 이어 10월에는 0.1% 상승했을 것으로 예상. 5. 장세전망 ▶ 800p선 돌파 이후 20일 이동평균선까지 조정을 받은 상황에서 외국인 매수세가 유입되며 재차 800p를 강하게 돌파한 것은 긍정적인 모습으로 판단됨. ▶ 미국 경제 회복의 신호에 의해 전세계 증시가 상승세를 나타내었으나, 이번 주 초반에는 영향을 미칠만한 발표가 없었던 상황. 금일부터 미 경제지표의 발표가 이어지며 미 경제 회복의 긍정적인 신호를 줄 것으로 판단되어, 시장의 상승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여겨짐. [대우증권 제공] <성화용기자 shy@sed.co.kr>

관련기사



성화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