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독일식 사과 못한다는 아베, 아태평화는 바라는가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독일 방문 중인 지난달 30일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일본의 과거사 극복은 독일의 상황과 다르다면서 독일식 과거사 해법 가능성을 일축했다. 그는 이날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에 실린 회견에서 "일본은 (이미) 주변국들과 타협해 평화협정을 맺고 배상 문제에 관해 진실한 기준을 세웠다"고 강조했다. 진심 어린 사죄를 바탕으로 주변국과 진정한 화해를 이끈 독일에서 교훈을 찾으라는 국제사회의 충고를 정면으로 거부한 셈이다. 일본 정부의 우경화 행보나 주변국과의 마찰 등 아베 노선에 대한 국제적 비판 여론에 대해 압박하지 말라는 공세적 역사인식을 내비쳤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관련기사



아베는 이어 "아시아의 경제발전 성과가 고삐 풀린 무장화로 쓸모없어져서는 안 된다"면서 중국의 군비확장에 대한 비판까지 했다. 하지만 이는 자칫 적반하장이라는 반발을 불러올 수도 있다. 침략에 대한 반성은커녕 집단적 자위권 발동 등을 통해 재무장을 추진함으로써 중국에 군사력 확대의 빌미를 먼저 제공한 게 바로 일본이기 때문이다. 아베의 일방주의적 행보는 이뿐이 아니다. 평화헌법 수정, 태평양전쟁 원흉들의 위패가 있는 야스쿠니신사 참배 강행이나 위안부 피해자 전면부정, 교과서 왜곡 등을 거듭해왔다.

아베의 이런 행동은 주변국과의 과거사 갈등을 인류의 보편적 가치 복원과 상처 치유 측면에서라기보다 물질적 채권·채무 관계 정도로 인식하고 있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일본계 정치학자인 프랜시스 후쿠야마 스탠퍼드대 교수가 최근 미국에서 열린 '밀켄 컨퍼런스'를 통해 "아베가 위안부 강제동원과 전쟁범죄를 인정하지 않는 멍청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일갈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아베는 이날 인터뷰에서 "(화해를 위한)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고 했지만 진심 어린 사죄만이 진정한 대화와 화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먼저 깨달아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