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해양플랜트 부가가치 살리자] <하> 맞춤형 금융지원 시급

선박금융 대형 플랜트 위주 벗고 설계·기자재 분야로 다양화해야<br>민관 합작으로 펀드 만들어 중소업체에 새 기회 부여를<br>엔지니어링 인력 양성위해 특성화대 학비보조도 필요


"미래 먹거리 산업인 해양플랜트를 제대로 육성하려면 금융지원부터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합니다."

국내 대형 조선소에 기자재를 납품하는 A 중소협력업체 대표는 건설 위주인 현 국내 해양플랜트 산업의 외연을 넓히려면 맞춤형 금융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올 상반기 국내 조선 3사의 세계 해양플랜트 수주 점유율은 39.5%로 세계 1위지만 기자재 국산화율(20%)이나 설계 및 서비스(운반∙설치∙시운전∙유지보수 등) 분야에서 경쟁력이 취약한 배경으로 부족한 자본을 지적한 것이다.

실제 이들 분야는 중소 조선업체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유리한 곳이지만 그동안 정부와 금융기관으로부터 제대로 된 금융지원을 받지 못했다. 해양플랜트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이 경쟁력 있는 국내 대형 조선사의 건조 분야에 편중됐던 탓이다. 정부가 해양플랜트 시장의 숨겨진 부가가치를 찾기 위해 서비스 산업을 본격 육성하기로 나선 만큼 이들 분야에 대해서도 맞춤형 금융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대형 조선소 건설 위주에 편중된 금융지원=드릴십이나 부유식생산저장시설(FPSO)과 같은 해양플랜트 플랫폼 건조에는 우리나라 대형 업체가 강점을 갖고 있다. 일반 상선 건조에 이어 해양플랜트 건조 분야까지 세계를 선도할 수 있는 것은 수출입은행∙무역보험공사 등 정책금융기관의 금융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해양플랜트는 한 척당 5억달러를 넘어 조선소의 기술력 못지않게 선박금융 조달 여부가 수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관련기사



지난해 수은이 집행한 해양플랜트 분야 금융지원액은 4조4,000억원을 넘어섰고 올해에도 지난 10월까지만 7조원을 육박한다. 무보 역시 보증을 통해 해양플랜트 지원에 나서고 있다. 문제는 이들 금융지원의 대부분이 대형 조선사가 짓는 해양플랜트 플랫폼 분야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정책금융기관의 한 관계자는 "생산이나 건조에 편중된 현 해양플랜트 산업구조를 향후 연관 서비스나 설계엔지니어링, 기자재 등으로 넓히려면 이에 맞춰 금융지원도 다원화할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중소업체 맞춤형 금융지원 이뤄져야=현재 중소 조선소는 업황 악화에 따른 구조조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 해양플랜트 서비스 분야(설계∙설치∙시운전∙개조∙운송 등)는 이들 업체에 새로운 사업 기회가 될 수 있다.

먼저 해양플랜트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육성하기로 한 만큼 민∙관 합작 펀드를 만들어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해양플랜트 선진국가인 유럽에는 이미 상업은행을 중심으로 해양플랜트 금융 지원이 잘 정착돼 있고 후발주자인 중국도 정책금융기관 외에도 일반 상업은행까지 달려 들어 금융지원에 나서는 실정이다. 조선플랜트협회의 한 관계자는 "플랜트 산업의 저변이 확대되려면 금융시장 발달이 전제돼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상업 기반의 선박금융 인프라가 사실상 없다"면서 "국민연금기금이나 국책은행, 일반 상업은행 등이 함께 참여하는 펀드를 조성해 전략적으로 지원하는 방안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말했다.

해양플랜트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학비를 보조해주는 방안도 검토해볼 수 있다. 정부는 앞서 고급 설계ㆍ엔지니어링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오는 2020년까지 해양플랜트 특성화대학을 기존 세 곳에서 여섯 곳으로, 엔지니어링 특성화대학원은 1개에서 6개로 늘리기로 했다. 해양플랜트 석ㆍ박사 과정에 입문하는 학생에게 장학금 등과 같은 인센티브를 부여해 우수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각 부처별로 흩어져 있는 전문 인력 양성 체계도 한 곳으로 통합, 중복을 줄여 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 해양플랜트 기자재 연구개발(R&D) 센터를 만들어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업체가 기술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단기간 내 기술 확보가 곤란한 품목에 대해서는 글로벌 선도기업의 국내 투자 유치도 검토해볼 만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서민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