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코레일,대전역 동광장에 호국철도 기념동상 건립

황남호·현재영 부기관사 2명도 미 정부 서훈 추진

6.25 전쟁 당시 미 2사단장 딘 소장 구출작전에 투입됐다 전사한 김재현 기관사와 부상당한 황남호·현재영 부기관사의 숭고한 넋넋을 기리기 위해 대전역 동광장에 이들 기관사의 동상이 설치됐다. 사진제공=코레일

대전역 동광장이 호국철도 정신을 계승하는 성지로 새롭게 조성된다.

코레일은 광복 70주년과 116주년 철도의 날을 기념해 6.25전쟁 당시 미 24사단장인 딘 소장 구출과 군수물자 수송작전에 투입됐다가 전사한 김재현 기관사와 부상에도 불구하고 임무를 완수한 황남호·현재영 부기관사의 동상 제막식을 대전역 동광장에서 18일 갖는다고 17일 밝혔다.


미 24보병사단장 윌리엄 딘 소장은 6?25 전쟁 당시 대전 전투에서 북한군의 남하를 지연시킴으로써 낙동강 전투 승리의 발판을 마련했고 미 포털사이트 MSN이 선정한 미국 역사상 최고의 전쟁영웅 16인중 한 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제막식에는 유가족과 보훈단체 관계자들을 비롯해 유일호 국토교통부 장관, 버나드 샴포 주한 미8군 사령관, 최연혜 코레일 사장, 이명현 대전지방보훈청장 등 200여명이 참석한다.

기념동상은 ‘딘 소장 구출 및 군수물자 수송작전’에 실제 투입됐던 미카3형 129호 증기기관차와 김재현 기관사, 황남호·현재영 부기관사를 사실적으로 묘사해 철도인의 강인한 나라사랑 정신을 형상화했고 기념동상 뒷면에는 한국전쟁 당시 군 수송작전에 투입되어 장렬히 전사한 287명 철도인의 이름이 양각돼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한 철도 영령의 숭고한 넋을 되새기고 있다.


또한 이날 제막식에서는 황남호·현재영 부기관사에 대한 미국 정부의 표창 수여가 진행되며 미국 정부를 대신해 버나드 샴포 주한 미8군 사령관이 유가족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황남호·현재영 부기관사에 대해서는 미국 정부의 서훈이 추진중에 있다. 코레일은 현 정부의 국정과제인 ‘명예로운 보훈’ 정책에 따라 올해 초 미8군 사령부와 협의를 거쳐 공적카드를 제출했으며 현재 미국 국방부 심의중으로 이르면 이달말 결정될 예정이다.

김재현 기관사는 딘 소장 구출작전의 업적을 인정받아 2012년 미국 정부로부터 민간인이 받을 수 있는 최고 훈격인 ‘특별공로훈장’을 수여받은 바 있다.

황남호·현재영 부기관사는 그동안 추서되지 못하다가 최근 국가를 위해 희생하거나 공헌하신 분들에게 상응한 예우를 실시한다는 코레일의 강력한 방침에 따라 서훈이 추진됐다.

‘김재현 대대’도 탄생한다. 대전지역 최정예 향토사단인 육군 32사단 예하 505보병여단 1대대는 군사작전중 전사한 김재현 기관사의 호국정신을 계승한다는 취지에서 부대 애칭을 ‘김재현 대대’로 명명했으며 이날 제막식에서 현판을 전달하는 시간이 마련된다.

505보병여단 1대대는 김재현 기관사가 전사한 지점에 위치한 부대로 향후 김 기관사 유적지를 수시로 찾아 참배하는 등 부대원의 자긍심과 자부심을 고취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한편 6?25 전쟁 당시 철도는 가장 중요한 육상 교통수단이었기에 1만9,300여명의 철도인들이 전시군사수송본부에 배속돼 각종 군사작전에서 전투근무 지원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고 6?25 전쟁 기간 287명이 전사해 군인, 경찰 다음으로 많은 희생됐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6.25한국전쟁에 참전한 철도인들은 국가를 위해 누구보다 용감하게 주어진 임무를 수행했다”며 “대전역 기념동상은 전사한 철도영령의 숭고한 넋을 되새길 수 있는 뜻 깊은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