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양대노총, 노사정 신년인사회 보이콧

대화 언제 재개될지 미지수

임금체계 개편 차질 불가피

한국노총과 민주노총 등 양대 노총이 결국 10일 열린 정부 주관의 노사정 신년인사회에 불참했다.

철도파업 당시 정부가 민주노총 사무실에 경찰을 투입한 것을 계기로 정부와의 관계가 틀어졌는데 양대 노총이 신년 인사회마저 보이콧하면서 관계회복은 당분간 요원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광호 한국노총 사무총장은 이날 "정부와의 대화 중단 입장이 유효하다"며 신년인사회에 불참했다. 한 사무총장은 "철도노조 파업 관련해 민주노총에 공권력을 행사한 데 대한 사과와 관련자 처벌 없이는 어떤 대화의 장에도 나서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민주노총도 불참했다. 노동계 안팎에서는 연초에 예정된 노조 지도부 선거를 의식해 양대 노총이 신년인사회에 불참한 사례는 종종 있었지만 철도파업 이후 노동계와 정부의 관계가 악화돼 대화가 언제 재개될지는 미지수라는 관측이다.

이에 따라 법원의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후속조치로 정부와 노조가 머리를 맞대고 임금체계 개편 논의에 착수해야 하는데 상당한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이날 신년인사회에는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이희범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 등 300여명이 참석했지만 노조가 불참해 반쪽짜리에 그쳤다는 지적이다. 방 장관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일자리를 늘리고 장시간 근로 구조를 개혁하는 한편 미래지향적 노사관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