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통합민주당, 조만간 국회 등원 할듯

강경론속 全大 출마자들 상당수 "원내투쟁 병행해야"

통합민주당이 조만간 국회 등원을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당 대표와 최고위원 경선 출마자 중 상당수가 22일 대전ㆍ충남 기자들과의 간담회에서 ‘원내병행투쟁’을 전제로 ‘등원’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강경론 속 등원 공감대 확산=정대철 당 대표 후보는 이날 간담회에서 “(등원은)빠를수록 좋다. 원내투쟁을 병행해야 한다”며 “지도부는 등원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당원과 국회의원에게 적극 설득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주선 최고위원 후보는 “국민적 바람은 이 정도 했으면 국회에 들어와 투쟁의 양상을 바꾸라는 메시지가 많다”며 “정부ㆍ여당과 평행선을 달리는 것은 명분론에 손상이 있을 것”이라며 당 지도부의 결단을 주문했다. 그러나 당내에서는 ‘재협상=등원’이나 최소한 ‘가축법 개정시=등원’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추미애 당 대표 후보는 “여당이 (가축법 개정에)동의하면 즉각 등원할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문병호 최고위원 후보는 “우리가 어물쩍 등원한다면 야당의 책무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신중론과 여론부담 상존=이외에도 ‘등원은 원내 전략이므로 원내대표에게 맡겨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안희정 최고위원 후보가 “등원을 하든 안 하든 그것은 원내대표 구사 전략이어야 한다”고 강조하자 김민석 최고위원 후보는 “등원 시기는 원내대표 결단에 따라야 한다”고 거들었다. 논쟁이 격화되자 정세균 당 대표 후보는 “정부 추가협상 결과가 나왔으므로 의원총회에서 (투쟁전략을)평가하고 점검할 때가 됐다”며 “등원할 상황은 아니지만 점검할 때는 됐다”고 중재에 나섰다. 민주당의 이 같은 분위기는 정부의 추가협상 실효성과 별개로 장외투쟁의 명분이 갈수록 약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민주당은 국회 파행이 장기화할 경우 이에 따른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이유다. 한편 민주당은 23일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등원’에 관해 논의한 뒤 공식적으로 의원총회를 열어 의견수렴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