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생지옥 따로 없는 北 정치범수용소

고문 난무하고 재판없이 즉결처형도


재판도 안거치고 나무에 꽁꽁 묶인 채 돌팔매질로 처형당하거나, 군인들에게 즉결 처형당하는 북한 주민들. 두 손을 뒤로 묶인 채 수용소 감방 벽 60cm 높이의 걸대에 다시 묶여 엉거주춤한 자세로 고통스런 나날을 지내야 하는 정치범들. '기중기' '비행기 날기' '오토바이'라 불리는 온갖 가혹행위와 몽둥이타작, 잔혹한 성고문이 난무하고 영양실조, 과도한 노동에 시달리는 북한 정치범수용소 등의 모습이다. 미국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한국의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지난 11일 미국 워싱턴의 존스홉킨스 국제대학원(SAIS)에서 정치범수용소를 비롯한 북한 전역에서 이뤄지고 있는 잔혹한 인권유린의 실상과 열악한 북한의 인권상황을 전했다. 이 자리에는 미국 국무부의 로버트 킹 북한인권특사와 미국 인권단체 '디펜스포럼' '프리덤하우스' 관계자 등이 참석해 관련 증언을 청취했다. 북한인권정보센터의 조사에 따르면 이같은 북한의 인권유린은 고난의 행군 시절인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에 자행된 사례가 가장 많다. 특히, 정치범수용소 내 수감자의 88%는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를 보장받지 못했으며 대부분 불법적인 감금ㆍ구속은 물론 고문과 신체적 가혹행위를 경험했다. 북한은 프리덤하우스가 올해 발표한 '2010 세계 자유' 평가에서 버마, 리비아, 소말리아, 수단 등과 함께 전 세계에서 인권상황이 가장 나쁘고 가장 자유롭지 못한 9개국 중 하나로 선정됐다. 정치적 권리, 언론과 표현, 집회의 자유 등 일반적인 국민 권리가 전혀 보장되지 않아 11년 연속 최악의 인권국가로 지목된 것. 킹 북한인권특사는 북한의 비핵화를 촉구하는 동시에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 문제도 함께 제기하고 압력을 가해야 한다며 미국과 북한간 관계 개선에 인권 문제가 중요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지난 9월까지 2만2,000건이 넘는 북한 당국의 인권유린 실태를 조사했다. 이 중 85%가 직접 겪거나 목격한 내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