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제금융시장 추가충격땐 국내 신용경색 배제못해"

김석동 재경부 1차관

김석동 재정경제부 제1차관은 29일 “서브프라임 부실이 확산돼 국제 금융시장에 추가 충격이 발생하면 국내 금융시장의 신용경색으로 파급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최근 기업대출 금리 상승과 내년 바젤2 시행 등으로 우려되고 있는 중소기업대출 위축 가능성에 대해 “어떤 경우에도 정부는 시장을 방치하지 않는다”며 관계당국이 예의주시하고 있음을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재경부 정례 브리핑 자리에서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상당 기간 지속되면 우리 시장의 변동성도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차관은 해외 금융기관들의 서브프라임 관련 손실이 예상보다 큰 것으로 발표되면서 국제 금융시장에서 안전자산 선호 경향이 확대되고 신용경색 우려 등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이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도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외화자금 공급이 감소하면서 채권선물 매도가 증가해 채권금리가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면서 “필요하다면 우리(당국)가 환매조건부채권(RP) 매매거래를 계속하는 등 어떤 경우에도 정부는 시장을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최근 금리 급등으로 중소기업대출 위축 등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는 데 대해 “근본적으로 국제 금융시장의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외화자금 확보의 어려움에 기인해 금리 급등이 나타나는 측면이 있다”며 “정부는 이 같은 시장 동향을 면밀히 점검, 시장실패 우려가 있다면 언제든지 시장 안정화 조처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