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금융·신용 교육의 필요성

#1. 중견기업 부장인 A씨는 최근 전세자금 대출을 받기 위해 시중은행을 찾았다가 깜짝 놀랐다. 소득 등 재무상황을 기준으로 자격 요건을 충족했지만 대출을 받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유는 단 하나. A씨가 자동차 구입자금으로 제 2금융권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 때문에 신용등급이 떨어졌다. #2. 직장인 B씨는 시중은행 지점 창구에서 대출상담을 받다가 황당한 일을 겪어야 했다. 대출을 받으면 자신의 신용등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느냐고 묻자 담당 직원은 정작 “잘 몰라서 답변하기 힘들다”고 말했다. B씨는 답답한 나머지 본점에도 문의했지만 명쾌한 답을 듣지 못했다. IMF 외환위기 이후 국내 은행산업은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했다. 인수합병 등을 통해 덩치를 키웠고 사상 최대의 순익 경신 행진을 벌일 정도다. 하지만 금융 및 신용교육에 관한 한 아직 후진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금융 서비스의 주체인 은행도 체계적인 개인 신용관리 시스템과 노하우가 없다 보니 제대로 된 자산관리 상담을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소비자도 이렇다 할 금융 및 신용관리 교육을 받은 적도 없다. 미국은 최근 금융강국의 위치를 굳히기 위해 국가차원의 프로젝트인 ‘금융이해력 발전전략(The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Literacy)’을 마련했다. 민간기구는 물론 재무부ㆍ연방준비은행 등도 참가해 전 국민의 금융지식을 향상시켜 합리적 금융거래 기반을 조성하고 금융역량을 강화하자는 취지다. 금융자본이 축적된 우리도 이제 은행들부터 제대로 된 교육 및 신용관리 시스템을 만들고 소비자들을 상대로 체계적인 신용교육 활동을 펼쳐야 한다. 은행은 우선 획일적인 공급자 위주의 대출 관행부터 바꿔야 한다. 개인 신용과 성실성, 소득이 기준이 되는 게 아니라 대기업 직원이냐, 중소기업 직원이냐를 따지는 등 여전히 구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외국계 은행 관계자들은 “제 2금융권 자금을 쓴다고 무조건 신용등급이 떨어지는 것은 비합리적”이라며 황당한 표정을 짓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