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11월 9일] 세계의 관심속에 막오른 G20 서울회의

8일 주요20개국(G20) 재무차관회의를 시작으로 역사적인 G20 서울 정상회의의 막이 올랐다. 오는 11일 120여명에 달하는 세계적 기업의 최고경영자들이 참여하는 비즈니스 서밋에 이어 12일 세계 25개국 정상이 참여하는 정상회의가 열리는 4일 동안 세계의 이목은 서울에 집중된다. 특히 이번 서울회의는 최대 현안인 환율안정과 글로벌 불균형 해소, 금융안전망 구축, 개도국 개발지원 등 중요한 의제를 놓고 각국의 의견을 수렴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자리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글로벌 경제질서 구축의 분기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 여부는 의장국인 우리 정부의 리더십과 역량 그리고 국민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조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걱정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지난달 경주 G20 재무장관회의에서 환율 문제를 비롯한 주요 쟁점의 가닥을 잡았다는 점에서 회의 전망은 낙관적이다. 특히 환율갈등의 경우 시장결정적 환율제도를 지향하기로 합의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를 풀었고 세계무역기구(IMF) 지배구조 개혁에 대해서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신흥국의 지분을 6%포인트 늘리는 선에서 합의를 이끌어냈다. 그러나 복병이 없는 것은 아니다. 미국이 6,000억달러에 이르는 2차 양적완화 조치를 취하면서 환율전쟁이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중국과 브라질 등 신흥국은 미국의 양적완화 조치에 강한 불만을 표시하고 있고 일본ㆍ유럽도 맞대응에 나서면서 갈등이 다시 증폭되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 정상회의에 대한 세계의 관심이 환율안정을 위한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에 모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서울회의에서 환율 가이드라인에 진전이 있을 것"이라고 말해 기대를 갖게 하지만 핵심 당사국이 미국과 중국이라는 점에서 낙관은 일러 보인다. 의장국인 우리나라의 리더십과 조정능력이 필요한 대목이다. 환율 문제 외에 우리나라가 제의한 개도국 개발의제와 글로벌 금융안전망 구축 등 '코리아 이니셔티브'를 성사시키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세계경제의 안정과 균형성장을 위해 꼭 필요한 장치들이기 때문이다.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G20 서울회의가 성공할 수 있도록 국민 모두의 관심과 성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