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NSA, 스노든 폭로전 권한 대폭 확대 모색했다"

NYT 기밀 공개 "민간망 침투·암호체제 포섭 목표도 제시"<br>세계 인터넷 흐름 감시…유럽·아시아 등 데이터센터 침투

'정보감시' 논란을 빚은 미국 감청기관이 기존의 법적 제약을 깨고 권한을 더 강화할 생각이었다는 폭로가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전 미국 방산업체 직원인 에드워드 스노든이 공개한 국가안보국(NSA)의 '2012∼2016년 시긴트(SIGINT) 전략' 기밀문서를 인용해 이처럼 보도했다.


시긴트란 국내외 인터넷이나 전화 등의 신호(시그널)를 가로채 얻는 정보를 뜻한다. 올해 NSA에 '사생활 침해' 논란을 일으킨 최대 쟁점이다.

24일 NYT에 따르면 5쪽 분량의 이 문서에서 NSA는 시긴트 업무의 최적화·효율화를 위해 공격적으로 법적 권한을 넓히고 정책적 틀(framework)을 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신호감시 황금기"…'유연성' 촉구

이 문서가 쓰인 시기는 작년 2월로 스노든이 NSA의 감청망 존재를 폭로하기 한참 전이다. 당시 NSA는 대중에 거의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이 문서는 NSA가 정계·시민사회의 견제 바깥에 있던 시기에 몰래 영향력을 더 넓히려고 했다는 의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NYT는 전했다.

NSA는 원칙상 해외정보감시법원(FISC) 등의 감독을 받지만 규제의 투명성과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유력 정보기술(IT) 단체인 월드와이드웹 재단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을 감청에 대한 법원 규제가 매우 약한 국가로 꼽기도 했다.

문서에서 NSA는 IT 발달로 인터넷 등 통신이 급증해 다각도의 대규모 감청이 가능해졌다면서 현시대를 '시긴트의 황금기'라고 불렀다. 이 때문에 시긴트의 수요도 크게 늘면서 관련 규제에 대한 유연성도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NSA는 이번 문서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법적 권한을 강화하고 지원 정책을 추진할지를 언급하지는 않았다.

◇ 민간 암호시장 장악 계획도


NSA는 또 '글로벌 네트워크에 대한 장악력을 극적으로 강화한다'면서 민간 통신망에 대한 침투 목표를 천명했다.

관련기사



IT업계에서 감청 방지 대책으로 쓰이는 암호 기술을 '도전'(Challenge)으로 규정하고 이를 무력화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고 문서는 전했다.

특히 문서는 사람을 통한 첩보(HUMINT)와 외부 제휴를 동원해 암호기술 시장에 영향을 미쳐야 한다고 밝혔다. 민간 암호 체제를 의도적으로 포섭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미국 정보당국 관계자들은 이번 보도와 관련해 '테러 용의자 감시와 관련한 제약을 해결하자는 의도였지 다른 뜻은 없었다'고 해명했다고 NYT는 전했다.

◇ 세계 인터넷 '손바닥 보듯'…중국·러시아도 뚫어

NYT는 스노든이 공개한 또 다른 기밀문서를 토대로 NSA가 세계 곳곳의 인터넷 접속 현황을 파악하는 '보물지도'(Treasure Map)란 작전을 운영했다고 폭로했다.

이 작전은 미국 등 세계 각지에서 PC와 스마트폰 등의 IP(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매일 3천만∼5천만 개 규모로 감시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이런 감청망을 지원하고자 NSA는 '포장 상품'(Packaged Goods)이라는 작전명 아래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 세계 각지의 데이터센터에서 몰래 정보 흐름을 파악했다.

이렇게 데이터센터가 침투된 국가로는 독일, 폴란드, 덴마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만, 러시아, 중국, 싱가포르 등이 있다고 NYT는 전했다.

한 미국 당국자는 실제 NSA가 외국 데이터센터를 해킹한 것이 아니고 위장 회사가 해당 센터에서 서버를 빌리는 방식으로 비밀 감시망을 구축했다고 전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