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높아지는 '차이나 리스크'에 대비해야

경기과열 양상이 진정될 기미를 보이자 않자 중국 당국의 대응도 강도를 더해가면서 불안감이 증폭되고 있다. 중국의 변화는 우리에게 곧바로 영향을 미치는 만큼 ‘차이나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는 대책을 준비해야 할 때다. 요즘 중국 경제는 그야말로 파죽지세다. 3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11.5%를 기록했다. 올 들어 3분기 연속 11%를 웃도는 고성장세를 지속했다. 경기가 달아오르자 물가가 급등하는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9월 소비자물가는 6.2%로 8월에 이어 6%대의 고물가를 지속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억제목표로 삼고 있는 3%를 두 배 이상 웃도는 수준이다. 잇따른 대책에도 경기가 진정되지 않자 중국 당국의 대응도 전방위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강도도 갈수록 세지고 있다. 중국 인민은행은 지난 25일부터 은행 간 지급준비율을 12.5%에서 13%로 올렸다. 올 들어서만도 무려 여덟번째나 이뤄진 지준율 인상이다. 금리도 올 들어 다섯 차례나 올렸다. 약발이 먹히지 않자 금명간 또 인상한다는 소식이 들린다. 달러화에 대한 위안화 가치도 계속 올리고 있다. 인민은행은 엊그제 위안화 환율을 달러당 7.4위안으로 고시했다. ‘정부 정책에 맞서지 말라’는 말이 있다. 시장의 힘이 아무리 세도 정부가 작심하고 나서면 기가 꺾일 수밖에 없다는 얘기다. 지금 중국 경제는 시장의 힘이 워낙 커 정부 정책의 약발이 잘 먹히지 않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정부 정책의 강도는 더욱 거세질 것이고 시장의 불안감도 증폭되게 마련이다. 불안한 시장에서는 참여자들도 몸을 사릴 수밖에 없다. 언젠가는 경기도 꺾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중국 당국의 정책이 효과를 거둘 때의 충격에 대비해야 한다. 일부에서는 중국 경제의 성장세가 거의 꼭지 부분에 다다랐으며 베이징올림픽 이후 한 차례 홍역을 치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엊그제 우리나라를 찾은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도 “중국 증시에 대한 기대감이 너무 크다”는 말로 중국 시장을 경계했다. 갈수록 증폭되고 있는 차이나 리스크에 경계심을 가질 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