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치안 악화" 수주 차질·착공 지연

■건설업계 영향

김선일씨 피랍사건이 끝내 참수라는 최악의 상황으로 마무리되면서 건설업계에 적신호가 들어왔다. 중동특수의 최대변수로 꼽혔던 치안상황이 악화되면서 신규수주는 물론 기존수주 공사의 착공일정도 차질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정부가 치안상황이 호전될 때까지 국내업체의 이라크 진출을 가급적 자제시킨다는 방침이어서 이라크 공사수주 및 착공시점은 상당히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 ◇이라크 진출기업 수주 및 공사 차질=대규모 이라크 재건사업을 수주한 현대건설의 경우 현지 상황이 갈수록 악화되자 이라크에 남아 있는 이영철 바그다드 소장을 가족들이 머물고 있는 요르단 암만으로 철수시킬 계획이다. 현대건설은 지난 2월 말 미국 임시행정처(CPA) 산하 이라크 재건공사시행위원회(PMO)가 발주한 재건사업을 2억2,000만달러(약 2,600억원)에 수주하면서 제2의 중동특수를 기대해왔다. 그러나 건설업체로서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수주한다 해도 치안상황이 악화될 경우 공사에 착수할 수 없다. 현대건설은 이달 중 착공하려던 이라크 재건사업계획이 사실상 어렵게 되자 발주처와 협의, 착공시기를 7~8월로 조정하기로 했다. SK건설은 1억달러 규모의 이라크 석유화학플랜트사업에 입찰한 상태이지만 현지 치안상황을 감안해 적극 나서기보다는 사태추이를 지켜본다는 입장이다. 오무전기는 현지 철탑공사 등을 위해 이라크로 다시 들어갈 준비를 해왔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시점을 더 늦출 수밖에 없게 됐다.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이라크에서의 정상적인 프로젝트 수주나 공사진행이 어렵다”고 말했다. 건설교통부 관계자도 “당분간 국내 건설업체들이 이라크 등 고(高)위험 국가에 진출하는 것을 가급적 제한할 방침”이라면서 “따라서 수주 및 공사일정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변국가 진출업체도 파장에 촉각=중동 지역은 쿠웨이트ㆍ이란ㆍ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앞으로 10년 동안 전력 및 담수설비, 가스전 파이프공사 등 50여건에 걸쳐 총 600억달러의 공사를 발주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건설업체들의 중동 지역 수주 및 공사에 대한 기대가 어느 때보다 큰 상황이지만 무엇보다 안전이 최우선이라는 데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현대건설이 중동 지역에서 가동 중인 건설현장은 이란ㆍ리비아 등 10여곳이며 현장에 파견된 한국인은 현대 직원 등 모두 680여명이다. 현대건설은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현장인력의 외부출입을 자제시키고 보안태세 역시 강화하고 있다. 쿠웨이트에서 정유공장을 짓고 있는 SK건설의 한 관계자도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현장직원들에게 외출자제 등 안전에 더욱 주의를 기울이도록 당부했다”고 말했다. ◇수주작업 자체가 중단되지는 않을 듯=이번 사태로 중동 지역 수주 및 공사에 차질은 있겠지만 현지 수주작업 자체가 중단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올 하반기만 해도 이란 사우스파 15~16단계 등 대규모 건설프로젝트 발주가 이어지고 있는데다 이 지역에서의 수주실적도 갈수록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조재덕 대우건설 해외사업본부 부장은 “중동 지역은 항상 위험성이 상존해 있어 매일 사내 인터넷망을 통해 e메일과 전화연락을 취하고 있다”면서 “현재로서는 지사 직원이동 및 철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사태추이를 지켜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종명 SK건설 전무는 “이번 사태에도 불구하고 쿠웨이트 등 인접국에서의 수주활동은 계속할 예정”이라면서 “고유가 등의 영향으로 쿠웨이트 쪽 석유화학플랜트 발주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