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올 주택건설 실적 12년來 최저 우려

11월까지 22만9,000가구로 작년보다 3.1% 줄어<br>이달 물량도 예년 못미쳐…30만가구 수준 그칠듯


올해 주택건설 실적이 IMF 외환위기 이후 최저치를 기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통상 연말에 공공의 밀어내기 물량이 쏟아지지만 올해 목표치인 40만가구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20일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올해 1~11월 주택건설 누계실적(인ㆍ허가 기준)은 22만9,039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 23만6,282가구보다 3.1% 감소했다. 이에 따라 연말에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공공 부문의 밀어내기 물량이 대거 쏟아지지 않는 한 올해 공급 목표치인 40만가구는 물론 IMF 외환위기 당시 기록한 30만6,031가구 이후 1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12월에 14만5,500여가구의 인ㆍ허가 물량이 몰리며 연간 기준으로는 38만1,800가구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에는 LH의 12월 물량이 예년의 7만~8만가구에 다소 못 미치는 수준이 될 것으로 보여 지난해보다 오히려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주택건설 실적은 1980년대 20만가구 선을 유지하다 1기 신도시가 조성되던 1990년 최대 75만가구에 달하기도 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30만6,031가구, 1999년 40만4,715가구로 뚝 떨어진 후 2000년 이후 46만가구 이상 유지했다. 2007년 55만5,792가구에 이르렀던 주택건설 실적이 다시 크게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다. 2008년에는 37만1,285가구, 지난해에는 38만1,285가구로 급감했다. 한편 주택건설 실적은 인ㆍ허가 이후 단독주택 등은 1년, 공동주택은 2~3년의 공사기간을 거쳐 준공하기 때문에 향후 수년간의 주택시장 수급을 예측하는 선행지표로 사용된다.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