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유럽도 '과다 보너스' 제재

프랑스 비판 여론 고조속 독일선 법 통과시켜


유럽인들도 기업의 과다한 연봉 및 보너스에 대한 반감을 표출하고 있다. 프랑수아 피용 프랑스 총리는 24일(이하 현지시간) 프랑스 2위의 자동차 부품업체인 '발레오'의 티에리 모랭 전 최고경영자(CEO)에 쓴소리를 던졌다. "막대한 적자를 내 전 사회에 악영향을 준 회사의 CEO가 고액 보너스를 챙겨 나가는 게 말이 되냐"는 이야기였다. 에릭 뵈르트 예산장관도 동참했다. 뵈르트 장관은 "이번 일은 비정상적이며 국민들을 도발하려는 것"이라며 보너스 반납을 요구했다. 발레오가 모랭 전 CEO에 지급한 '마지막 보너스'는 무려 320만 유로(약 60억원). 모랭 전 CEO의 이 같은 행태는 프랑스 3위 은행인 소시에테 제너럴 경영진이 지난 22일 전사회적 압박 속에 스톡옵션을 반납키로 한 것과 대조돼 더욱 여론을 자극하고 있다. 발레오 측은 "모랭 전 CEO가 20년 간 발레오에 근무했던 점을 고려해 후한 보너스를 지급했다"고 해명했지만 소용이 없었다. 발레오 지분 8.33%를 갖고 있는 프랑스 정부는 다음 번 주주총회에서 모랭 전 CEO의 보너스지급에 대한 반대의견을 밝힐 계획이다. 이미 23일 모랭 전 CEO에게 보너스가 지급됐지만, 강경한 회수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피용 총리는 "모두가 책임감을 가져야 할 시기라는 점을 분명히 깨달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업인들의 과다한 보너스 및 연봉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은 전 유럽에 퍼지고 있다. 스웨덴 정부는 24일 공기업 임원에 한해 실적과 연계된 보너스 지급을 금지하겠다고 밝혔다. 독일도 최근 기업 임원진의 보수를 보다 투명하게 책정케 한 법을 통과시켰다. 알베르트 루프레히트 독일 하원의원은 "국민들이 상대적으로 불평등하다고 느끼고 있다"며 "이러한 분위기는 경제 시스템과 시장, 심지어 민주주의에 대한 신뢰 상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