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엔화 약세 수혜주 관심을"

토러스證 "기계·정유·음식료 업종 단기투자 긍정적"


최근 엔화 가치 하락은 전세계적인 안전자산 선호 현상에 대한 이탈 신호가 아닌 ‘개별적인 가치하락’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에 따라 엔화 대비 원화가 강세로 갈 때 수혜를 볼 수 있는 기계ㆍ정유ㆍ음식료ㆍ운송 업종에 대해 트레이딩(단기투자) 관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토러스증권은 2일 “최근 엔화 약세 흐름에 대한 해석과 판단은 현 시점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이를 안전자산을 선호해왔던 글로벌 유동성의 변화 신호로 보기보다는 엔화 고유의 투자매력이 저하됐다고 봐야 한다”고 밝혔다. 엔화자체의 투자매력이 저하됐다는 주장의 근거로는 ▦엔고 역풍에 따른 일본 무역수지 악화 ▦엔화 강세에 베팅했던 투기적 자금의 이탈 ▦4월 세제개편을 의식한 일본 기업의 해외이익 본국 송환 지연을 꼽았다. 이경수 토러스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본은 지난 1월 9,526억원의 무역수지 적자를 기록했고 4개월 연속 무역적자에 시달리는 등 엔고를 지지해주기 어려운 환경에 처해 있다”며 “일본 정부도 엔화 약세를 용인해 간접적인 보호무역주의를 지향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그는 이어 “금과 달러가 모두 약세로 전환되는 시점을 캐리 트레이드 재개의 타이밍으로 볼 수 있는데 2ㆍ4분기까지는 더 기다려야 한다”며 “본국으로 자금 송환을 유도하기 위한 법안도 4월에 실시되기 때문에 그 전까지는 엔화 약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최근 ‘엔화 약세’를 국내 증시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평가하기보다는 수혜 업종 및 종목 중심으로 국한해 대응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또 “단기적인 모멘텀 측면에서 엔화 대비 원화가 강세로 갈 때 수혜를 볼 수 있는 업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기계와 정유ㆍ음식료ㆍ운송 업종에 대한 트레이딩 관점의 긍정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