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6월 7일] 농촌에 공익요원을 보내자

매년 초등학교 동창회나 명절 때 고향에 가면 친구들에게 농촌의 실상을 전해듣곤 한다. 친구들은 현재 농촌에서 가장 큰 문제는 총각들의 결혼문제라고 한다. 여성들의 농촌 기피현상으로 대부분이 국제결혼으로 다문화 가정을 이룬다는 것이다. 하지만 결혼을 한 후에는 아이들의 교육이 문제라고 한다. 어머니가 외국인이기 때문에 자식들에게 우리나라 말과 글을 가르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필자는 이들의 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농촌 일손도 늘리는 방안으로 공익근무요원을 활용하자고 제안한다. 다문화 가정의 수는 이미 110만을 넘어섰고 이들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 지원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대체복무의 한 형태인 공익근무제도는 행정관서 및 국제협력ㆍ예술체육 분야 등에서 운영되고 있다. 공익근무요원의 대부분은 행정관서에서 지원업무를 하고 있다. 물론 이들 기관도 많은 인력이 필요하겠지만 공익근무요원 중 일부는 농촌에서 근무하게 하자는 게 필자의 생각이다.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에게 과외지도를 하고 농번기에는 부족한 일손을 돕고 독거노인을 보살피게 하자는 얘기다. 배치되는 공익요원들이 부모님의 고향이나 친척들의 연고지에서 일하게 하면 본인 입장에서도 의미 있는 시간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 경우 아들을 군에 보낸 부모님도 마음이 놓일 것이다. 마을 이장이나 청년회장을 공익요원의 지휘관으로 임명해 이들을 관리ㆍ감독하고 숙소는 농촌마다 있는 마을회관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공익요원들의 농촌근무는 항상 일손이 부족한 농촌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공익요원 자신에게도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다. 물론 다문화 가정을 돕고 농촌을 살리기 위해 공익요원을 이용하자는 얘기는 엉뚱하게 들릴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효율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각종 제도들도 시작은 작은 아이디어에서 출발했다. 기존 인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해 사회적 비용을 낮추고 농촌에 다문화가정을 정착돼 농촌사회에 기운을 불어넣을 수 있다면 이런 생각도 충분히 검토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고 본다. 필자의 엉뚱한 생각이 현실화해 농촌이 예전처럼 활력이 넘치기를 기대해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