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창투사 모태펀드 조합결성 난항

국민연금·공제회등 기관들 출자 기피<br>자금유치 경쟁에서 PEF에 밀리기도

창투사 모태펀드 조합결성 난항 국민연금·공제회등 기관들 출자 기피자금유치 경쟁에서 PEF에 밀리기도 벤처캐피털 업계가 모태펀드에서 출자될 조합을 결성하기 위한 자금 마련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개별 조합당 모태펀드 자금비중이 최대 30%로 지난 해보다 10% 가량 줄면서 운용사인 벤처캐피털에서 마련해야 할 재원규모가 늘어났지만, 대부분의 기관들이 자금출자에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가장 ‘큰 손’인 국민연금마저 ‘벤처캐피털 육성’이라는 정책목표에 얽매일 수밖에 없는 모태펀드 자금과의 매칭을 가급적 피할 것으로 예상돼 창투사로서는 마땅한 물주 찾기가 힘든 실정이다. 5일 벤처캐피털 업계에 따르면 모태펀드에서 출자할 조합이 오는 6월 초쯤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창투사들이 기관 자금을 모으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각종 공제회ㆍ보험사ㆍ은행 등 대부분의 기관이 창투조합에 거부감을 드러내는 상황에서 사모투자전문회사(PEF)까지 등장, 자금유치 경쟁에서 밀리고 있는 것. 김윤권 LG벤처 이사는 “군인공제회ㆍ교원공제회 등과 접촉하고 있지만 PEF쪽에 더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만기 구조가 장기인 생명보험사들도 과거 수익률에 실망, 난색을 표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이사는 “일부 금융지주나 대기업 계열 창투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창투사는 기관 자금을 구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도 “유일한 희망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국민연금 역시 규약상 조건이 맞지 않는 모태펀드 자금을 받아들일 지는 미지수”라며 “만일 국민연금이 외면하면 조합 결성 자체가 힘들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중소기업청은 출자한 창투조합 등이 투자손실을 입었을 때 정부나 창투사가 펀드 결성금액의 일정 비율까지 일차적으로 손실을 떠안도록 했던 우선손실충당 조항을 폐지했지만, 국민연금은 ‘수익률 우선’ 방침에 따라 운용사에 ‘10% 우선손실충당’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벤처캐피털이 개별 조합에 대한 출자규모를 늘릴 수 있는 형편도 못 된다. 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개별 조합당 창투사 출자비중은 ▦2000년 15.3% ▦2001년 19.3% ▦2002년 19% ▦2003년 15.6% 등으로 17% 내외였지만 올해에는 17%도 버거운 실정이다. 한 창투사 사장은 “운용사 입장에서는 만기 조합의 상당수가 연장돼 실제 자금 유입은 극히 제한적”이라며 “창투사 자력으로 자금을 동원하길 바라는 것은 넌센스”라고 못박았다. 한편 중기청 관계자는 “출자상한선이 예년보다 낮지만 창업 3년 이내 신기술 벤처를 지원하는 조합은 50%까지 정부출자를 받을 수 있고 생보사 등으로부터 출자받을 수 있는 길도 터줬기 때문에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훈 기자 shlee@sed.co.kr 입력시간 : 2005-05-05 16:2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