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수소경제 시대' 준비에 총력 기울여야

산업자원부가 ‘수소경제시대’ 실현을 에너지정책 목표로 책정한 것은 매우 시의적절한 선택이다. 현재 쓰고 있는 화석연료는 2040~2050년께 고갈되는데다 기후변화협약 등 국제환경규제가 갈수록 강화되고 가격이 폭등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미국ㆍ유럽연합(EU)ㆍ일본 등 선진국은 수소경제시대 주도권을 쥐기 위해 이미 몇년 전부터 대체에너지의 총아라고 할 수소에너지개발에 착수, 상당한 기술을 축적했다. 수소경제는 산업 경제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수소로부터 얻는 것을 말한다. 수소는 매장이 편중된 화석연료와 달리 풍부해 고갈될 염려가 없고 많은 에너지를 발생하면서도 공해가 없는 무한 무공해 연료다. 이 때문에 화석연료의 한계를 극복할 대체에너지로 부상한지 오래다. 초기 기술개발이 어려워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이 흠이지만 2010년에는 수소에너지시장이 현재 세계 반도체시장의 3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출발이 늦은 우리나라의 수소에너지 관련 기술은 일본의 60% 수준에 머물고 있다. 정부는 올해를 수소경제 전환의 원년으로 삼아 에너지구조 개편인 산업구조조정 및 인프라 구축 등을 망라한 ‘수소경제 마스터플랜’을 상반기에 마련하고 올 시범사업에 1,000억원을 투입해 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좁힌다는 계획이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자동차 연료전지 등의 실용화를 앞두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개발을 서두르지 않으면 낙오할 공산이 크다. 수소에너지는 가능성이 무한한 만큼 기술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정부만의 노력으로 이뤄지길 기대하는 것은 무리다. 기업도 지금 시작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뒤 처진다는 각오로 기술개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 국민도 수소에너지가 앞으로 국가경쟁력과 직결된다는 점에서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정부ㆍ기업ㆍ국민이 3위 일체가 되어 꾸준히 추진한다면 선진국을 따라 잡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부가 수소에너지와 연료전지가 결합된 청정실증단지 조성,수소연료전지와 첨단단열기술, 태양광 등을 결합한 ‘파워 파크’ 건설 등 시범 프로젝트를 통해 수소에너지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로 한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