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문익점보다 800년 앞서 면직물 있었다

14세기 고려의 학자 문익점(1329~1398)은 사신을 따르는 기록관 자격으로 원나라에 갔다가 붓대 속에 목화씨를 감춰 가져 왔다. 이것이 한반도 목화 재배의 시작이었다. 이 때부터 면직물로 의복을 지어입기 시작했다고 역사 교과서에도 기록돼 있다. 이 같은 정설을 뒤집고 한국 면직의 역사가 문익점보다 800년 앞선 백제 시대 때부터 있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부여 능산리 절터 출토 유물을 기획 전시 중인 국립부여박물관은 최근 전시 유물을 정리 분석하는 과정에서 백제시대 유적 층에서 출토된 직물이 면직물임을 최근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박물관은 “한국전통문화학교 심연옥ㆍ정용재 교수팀과 함께 1999년 제6차 조사에서 능산리 절터 서쪽 돌다리의 백제 유적 층에서 수습한 폭 2cm, 길이 약 12cm의 직품을 관찰한 결과 면 섬유의 특징이 뚜렷이 관찰됨으로써 이 직물이 식물성 셀룰로스 섬유로 짠 면임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 면직물이 발견된 곳과 같은 유적 층위에서 발견된 ‘창왕명 사리감’이 567년 백제 창왕 때 제작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것 역시 비슷한 시기의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면직물은 문익점 보다 800년 앞선 국내 최고 면직물로 볼 수 있다고 박물관은 말했다. 지금까지 실물이 확인된 가장 오래된 면직물은 안동 태사자 묘에서 출토된 흑피화(검정색 소가죽으로 만든 장화)의 안쪽에 붙어 있는 것으로 그 시기는 고려 말 공민왕 때이다. 이번에 발견된 면직물은 고대의 일반적인 직물 직조법과 달리 강한 꼬임의 위사(緯絲)를 사용한 독특한 방식으로 밝혀졌으며, 중국에서도 아직 그 예가 보고된 바 없다고 박물관은 덧붙였다. 이번 조사 성과는 오는 10월 국립부여박물관이 개최하는 국제학술심포지엄에서 정식 보고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