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바이오

사무직 근로자, 노동직보다 척추질환 발생 많아

사무직 근로자들이 노동직 보다 척추질환 발생이 2배이상 높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0일 자생한방병원이 지난 1~3월 병원을 찾은 척추질환자 2,282명의 직업을 조사한 결과 사무직군 환자는 72.4%인 1,652명으로 집계돼 노동직군 630명(27.6%)보다 2배이상 많았다. 회사원, 전문직 종사자, 공무원 등이 사무직군으로 분류됐고 서비스직, 기계기술직, 농임축수산광업직, 자영업자 등이 노동직군으로 분류됐다. 이는 하루종일 몸을 움직이는 노동직이 사무직보다 근골격계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는 기존 통념과 상반되는 결과였다고 병원측은 설명했다. 윤유석 자생한방병원 척추디스크센터 원장은 “노동직은 항상 자연스럽게 허리운동을 하게 되지만 사무직은 장시간 고정된 자세로 앉아서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질환 발생이 높아지는 것”이라며 “사무직의 경우 스트레칭 기회가 줄어들고 인체에 부담이 되는 자세를 많이 취하게 되어 요통이나 디스크 등의 질환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고 밝혔다. 척추질환을 막으려면 컴퓨터 작업시 양팔을 옆구리에 붙여 팔꿈치를 가능한 직각으로 유지하는 등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50분 동안 작업후 5분정도는 휴식과 함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