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보건당국 검역체계 '구멍'

北항공기서 콜레라균 발견불구 공개안해최근 울산시에서 올들어 첫 콜레라 환자가 발생한 가운데 외국으로부터 전염병 유입을 차단하는 검역체계가 허술하기 짝이 없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특히 보건당국은 올들어 인천공항에 들어온 외국 항공기에서 2차례나 콜레라균을 발견하고도 이 사실을 국민들에게 알리지 않은 것으로 밝혀져 물의를 빚고 있다. 2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인천공항검역소는 지난 4월 18일 필리핀 마닐라발 항공기에 이어 7월 4일에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발 가루다 항공기 가검물에서 각각 콜레라균을 발견했다. 그러나 보건당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콜레라균 보균자가 국내에 들어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콜레라균 발견 사실을 알리지 않은 채 탑승자 추적조사만 벌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방역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현행 검역체계나 인력 규모에 비춰 항공기 탑승객들에 대한 전염병 추적조사에는 한계가 있으며, 특히 확산성이 매우 높은 콜레라 같은 전염병은 언제라도 외국에서 국내로 들어와 크게 번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동안 국내로 들어온 항공기와 선박은 각각 2만7,719대, 2만5,969척이나, 이 가운데 방역당국이 가검물을 채취해 콜레라균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경우는 항공기의 13%(3,598대), 선박의 11%(2,864척)에 불과하다. 이번 울산 콜레라 환자도 국내에서는 사상 처음으로 서ㆍ남해안에 앞서 동해안에서 먼저 발생한 경우여서 검역조사 결과 콜레라균이 외국에서 유입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박상영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