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코스피 200기업 5곳중 1곳 "경영권 불안"

국내 주요기업 중 5곳 가운데 1곳은 경영권 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코스피(KOSPI) 200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해 20일 발표한 '국내기업의 경영권 불안 및 대응실태'에 따르면 경영권 유지와 관련 '불안'(1.5%), '잠재적 불안'(16.7%), '이미 바뀐 상황'(0.7%) 등 전체 기업의 18.2%가 경영권 유지에 불안을 느끼고 있거나 향후 그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권 불안 이유로는 외국인 지분 증가(30.3%)를 가장 큰 요인으로 지목했으며주식가치 저평가(27.3%), 지배주주 지분 감소(21.2%), 인수합병(M&A) 방어제도 미흡(15.2%)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대한상의는 이에 대해 "기업들이 경영권 불안을 느끼고 있는 것은 주식시장의외국인 비중이 2000년 초 21.9%에서 최근 43%까지 높아진 반면 의결권 제한 규제로경영권 방어가 제약받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특히 삼성전자, 현대차 등 5대그룹의주력기업들이 모두 내부 지분에 비해 외국인 지분이 훨씬 높은 상황이어서 외국인이마음먹기에 따라 기업경영에 큰 혼란이 야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기업들은 또 적대적 M&A 위협의 주체로 외국인투자자 49.1%, 국내 및 외국인투자자 40.4%, 국내투자자 10.5% 등의 순으로 꼽았다. 외국자본에 의한 적대적 M&A 위협에 대해서는 지배구조 개선 등 긍정적 효과(43.9%)보다는 경영차질 등 부작용(56.1%)을 지적하는 의견이 더 우세했다. 실제로 외국인 지분이 늘어나면서 외국인 투자가의 경영간섭으로 애로를 겪은적이 있다고 밝힌 기업이 12.9%에 달했으며 이 중 47.6%는 외국인 투자가들로부터설비투자 대신 주주배당을 요구받은 적이 있다고 밝혔다. 경영권 안정을 위한 방어대책과 관련, 전체의 69.7%가 '별다른 대책이 없다'고밝혔으며 그밖의 기업들은 우호주주 확보를 위한 제3자 주식배정(25.8%), 경영진 교체요건 강화(3.0%) 등을 대책으로 꼽았다. 한편 경영권 안정을 위한 제도개선책으로 59.1%가 적대적 M&A 방어수단 활성화를 들었으며 '적대적 M&A 제도적 규제' 16.7%, '현행제도 유지' 13.6% 등으로 조사됐다. 대한상의 경영조사팀 이경상 팀장은 "외국인투자가들은 주로 배당이나 주가관리등 단기실적을 중시하고 있어 투자확대 등 기업의 장기성장 기반을 확충하려는 국내경영진과 마찰을 빚는 경향이 있다"면서 "기업들이 본연의 경쟁력 제고에 전념할 수있도록 경영권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