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개인돈 해외유출 성장잠재력 약화"

상의 보고서 지적

지난 2000년 이후 개인자금의 해외유출 비중이 높아지면서 국내경제의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키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가 12일 발표한 ‘국내자금 해외유출 실태와 대응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일반해외여행, 유학ㆍ연수, 증여성 송금 등 개인자금의 해외지급은 95년 국내총생산(GDP) 대비 1.7%에서 2000년 2.2%, 2004년 3.0%로 급증했다. 95년 1.2%였던 GDP 대비 해외여행지출 비중 역시 지난해에는 1.8%로 크게 증가했고 해외소비는 95년 5조6,000억원에서 2000년 6조4,000억원, 2004년 10조7,000억원으로 늘었다. 대한상의는 이처럼 개인자금의 해외유출이 증가한 것은 외환위기 이후 2단계에 걸친 외환자유화로 대부분의 외환규제가 폐지된데다 의료ㆍ교육 등 국내소비시장의 낙후로 고급서비스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여기다 극심한 반부자정서로 인해 부유층의 국내소비 기피, 조기유학 붐이 일어 자본유출을 재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한국과 미국의 국고채 5년물 금리차가 거의 없고 미국 연방기금금리와 한국 콜금리 차이도 0.5%포인트에 불과한 점도 자본유출을 요인으로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개인자금의 해외유출 증가가 ▦투자수익성 향상 ▦적정 외환보유 관리 ▦우수인력 양성 등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부정적 측면이 더 크다고 강조했다. 특히 지금은 수출호조로 자금유출의 부정적 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수출증가세가 둔화될 경우 경상수지를 악화시키는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지적했다. 또한 개인자금 유출은 장기적으로 국내 투자 및 소비 공동화를 야기시켜 고용감소 등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대한상의는 국내자금을 국내에서 제대로 투자하거나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대한상의의 한 관계자는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통해 국내에서 투자수익률을 높이고 서비스산업에 대한 진입장벽 등 각종 규제를 철폐해 국내에서 고급 서비스시장이 활성화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