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보잉-에어버스 또다시 격돌

"美공군 공중급유기 교체 1,000억弗 사업 따내자"… 11월 낙찰자 최종 결정

미국과 유럽의 통상마찰로 비화된 미 공군 공중급유기 교체사업을 놓고 미국의 보잉과 유럽계 에어버스가 다시 격돌을 벌인다. 미 공군 공중급유기 교체프로젝트는 1차 사업분만 400억 달러 규모로 지난 2008년 에어버스를 선정했다가 미국 정치권의 압력으로 입찰자체를 무효화한 바 있다. 이번 1차 사업분 입찰에서 보잉사는 미국 기업이라는 점과 저렴한 유지비용, 에어버스는 가격경쟁력을 각각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보잉은 지난 9일(현지시간) 신형 공중 급유기 179대 공급을 위한 입찰 제안서를 오하이오주의 한 미 공군기지에 제출했다. 보잉의 쟝 챔벌린 공중 급유기 사업단장은 "이번 사업은 보잉뿐 아니라 미국 국익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라며 "미국 납세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는 11월 낙찰자를 최종 결정하게 될 이번 프로젝트는 50년 이상 사용한 구형 공중 급유기 KC-135기 1차분 159대를 교체하게 된다. 전체 규모는 1,000억 달러에 달해 '세기의 프로젝트'로 평가된다. 에어버스의 모기업 유럽항공우주방위산업(EADS)는 이달 8일 8,819쪽 분량의 입찰 제안서를 미 국방부에 제출했다. 보잉과 에어버스는 각각 B767와 A330 여객기를 군사용으로 개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양사의 구체적 응찰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보잉의 공중 급유기가 에어버스 제품에 비해 작고 운영 비용도 적게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에어버스는 가격이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보잉은 "에어버스가 유럽국가로부터 부당한 보조금을 받아 가격을 낮추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미 공군은 "보조금 지급 여부가 낙찰에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혀 미국 정치권에 상당한 논란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보인다. 보수강경파인 샘 브라운 백(캔사스주) 공화당 상원의원을 비롯한 일부 의원들은 "보조금을 받는 에어버스에 불이익을 줘야 한다"며 국방부에 압력을 넣고 있다. 한편 세계무역기구(WTO)는 지난 달 "유럽국가들의 에어버스에 대한 보조금 지급이 불법"이라고 판정한 바 있다. 공중 급유기 사업자 입찰 프로젝트는 이번이 3번째로 지난 2003년의 경우 보잉이 사업을 따냈으나 국방부와 보잉간의 문제로 결정이 번복됐고 2008년에는 에어버스가 사업대상자로 선정됐다가 미 회계감사원(GAO)의 지적으로 취소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