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환경부, "2020년까지 3조4,600억 투자 세계적 물기업 육성"

녹색환경산업복합단지 설치<br>지방상수도 통합 공기업에 위탁도


환경부는 오는 2020년까지 총 3조4,6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세계적인 물기업을 육성하고 물관련 핵심기술 개발하는데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13일 밝혔다. 환경부는 우선 IT 체제에 기반을 둔 지능형 물 생산ㆍ공급시스템을 개발해 상하수도 운영에 접목하고 유입원수 수질에 따라 정수처리 수준을 결정하는 지능형 정수처리기술과 첨단 신소재 여과막 개발 등에 1조5,53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녹색환경산업복합단지를 인천환경연구단지에 설치한다. 이를 통해 국내기업과 연구기관, 인력양성기관이 연계돼 물관련 기술 개발과 실증화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고 우수기술의 경우 상업화 및 해외진출까지 지원할 수 있는 물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할 예정이다. 또 현재 164개 시ㆍ군 단위로 운영되는 지방상수도를 2020년까지 39개 권역별로 통합하고 공기업에 위탁해 전문경영능력을 지닌 물기업을 육성하기로 했다. 환경부 측은 대규모 수도사업자인 특별ㆍ광역시 등 지자체와 수자원공사ㆍ환경공단 등 공기업에 상수도 사업을 위탁해 전문기관으로 키울 방침이라며 민간기업은 공기업과 컨소시엄을 짜 상수도 사업에 뛰어들거나 유역단위로 통합할 하수도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다양한 샘물자원 발굴과 병입 수돗물 개발을 통해 먹는샘물 산업의 발전 기반을 조성하고 물 재이용 전문기업에도 투자할 예정이다. 현재 국내 물 산업의 현황은 해수담수화 증류식 방식분야에서 두산중공업이 세계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을 뿐 상수도의 경우 비경쟁적적 시장체제의 164개 수도사업자는 규모의 영세성으로 국제 경쟁력이 떨어지며 민간기업은 상수도 운영관리 실적 부족으로 해외 진출이 곤란한 상태다. 하수도의 경우는 민간위탁이 75%정도로 활성화 돼 있으나 단기계약 내지는 소규모 영세업체 위탁 위주로 돼 있다. 환경부의 한 관계자는 "블루골드로 각광받을 세계 물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물산업에 아낌없는 투자가 필요하다"며 "핵심기술 개발과 전문 물기업 육성을 통해 물산업의 국외진출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세계 물시장은 연평균 6.5%씩 성장하고 있고 2025년에는 8,650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이어서 물산업은 21세기를 주도할 블루골드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에 비해 국내 물시장은 101억달러로 세계시장의 2.1%에 불과하고 국내 물산업의 해외진출 규모도 2008년 기준으로 15억달러에 불과해 세계시장의 0.3% 수준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