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도약! 21세기 자동차강국] "국제기준 맞춰 경차폭도 확대를"

업계, 수출애로 변경요구현대ㆍ기아차는 2004년 초 경차 부문을 통합, 정부의 규격에 관계 없이 폭이 1.6m인 1,000㏄급 경차를 국내에 판매할 방침이다. 특소세ㆍ등록세 면제, 공채 매입ㆍ주차료ㆍ자동차세 감면 등 정부의 각종 혜택을 포기하겠다는 것. 배기량 800㏄ㆍ폭 1.5mㆍ길이 3.5m 이하로 돼 있는 현행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을 따를 경우 강화되고 있는 유럽의 안전 및 품질 기준을 충족할 수 없는 등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사실 정부의 우대책에도 불구하고 승용차 중 경차의 내수 판매 비중은 98년 27.4%에서 올해 7.7%로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 자동차 선진국인 일본(26%), 이탈리아(45%), 프랑스(39%), 영국(11%) 등과 비교해 현저하게 낮다. 이는 국내 경차의 폭이 좁다보니 차량의 안전성 및 실내 거주성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신이 높은 것이 결정적 이유다. 또 경차 수출의 80%를 차지하고 있는 서유럽의 경우 피아트ㆍ르노ㆍ폭스바겐 등 폭이 1.6m인 경쟁 차종에 비해 상품력이 떨어져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게다가 경차에 대한 국내외 환경ㆍ안전 규제도 갈수록 강화되고 있어 대응이 어려운 것도 문제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면제해줬던 충돌안전도 시험을 내년부터 실시하기로 했으며, 서유럽에서도 충돌 테스트를 강화하고 이산화탄소 배출가스 규제 기준을 2004년부터 191g/㎞으로 올릴 방침이다. 이 때문에 차량 폭 1.6m 등으로 경차 기준을 바꿔야 한다는 게 현대ㆍ기아차의 주장이다. 기아차 관계자는 "국내와 수출 모델의 규격을 달리 운영할 경우 원가 경쟁력이 떨어진다"며 "경차 관련 규제를 완화, 상품력을 높일 경우 국내 경차 보급 활성화와 수출 확대로 정부가 국민 경제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행 경차 기준은 지난 91년 정부의 국민차 보급에 나설 때 일본 기준을 원용해 정해졌다. 최근 현대ㆍ기아차는 기준 변경을 시도하고 있으나 GM대우차 측의 반발 등 업체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아 접점을 찾지 못하는 실정이다. 최형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