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24일 제4회 결핵예방의 날을 맞아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핵 관리 강화 대책을 내놓았다.
복지부는 "결핵은 저개발 국가에서나 발생하는 '잊혀진 질병'으로 여겨지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결핵 발생률과 사망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을 정도로 관리가 취약하다는 지적에 따라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결핵환자 복약관리 대상을 기존 증상이 심각한 환자 1,000여명에서 감염성 결핵환자 1만2,000명 전체로 확대한다. 보건소에서 2주간 전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서 매일 복약 여부를 확인하고 이후에도 최대 6개월 동안 주기적으로 관리하는 방식이다.
고운영 질병관리본부 과장은 "결핵을 완치하려면 꾸준히 약을 복용해야 하나 한꺼번에 많은 약을 먹어야 하는 것이 부담스러워 이를 게을리하는 환자가 많다"며 "정부 차원에서 환자의 복약 여부를 관리하면 완치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결핵은 전염이 되기 때문에 환자가 접촉한 사람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해 5월부터는 비감염 결핵환자를 포함한 모든 결핵환자 4만명에 대해 접촉한 사람의 목록을 정부가 직접 관리하고 접촉자는 흉부X선 등 결핵 검사를 실시한다.
오는 7월부터는 의료기관 격리치료 명령제를 시행한다. 이는 다제내성결핵 등 증상이 심각한 환자가 입원명령을 거부하거나 무단 외출하는 경우 경찰력을 동원해 격리치료를 받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전국 중·고등학생에 대한 결핵 접촉자 조사 규모를 지난해 500건에서 올해 1,500건으로 늘린다. 지금까지 전염성 결핵환자가 신고된 경우 접촉자를 조사했지만 학교의 경우 앞으로는 비전염성 결핵환자만 확인돼도 조사에 들어간다.
정부는 이런 대책들을 통해 2015년까지 결핵 발생률을 지금의 절반 수준(10만명당 100명에서 50명)으로 줄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