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 지하철카드 개선 '빨간불'

市-업체, 단말기 공급가격 놓고 수개월째 대립서울시가 지하철노선에 설치한 교통카드단말기 공급가격문제를 놓고 업체와의 갈등을 빚고 있어 향후 지하철교통카드 성능개선사업에 차질이 우려된다. 29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지하철 1~8호선에 교통카드단말기 3,000여대를 설치한 C사와 시스템 공급 가를 놓고 수 개월째 대립하고 있다. 시는 지난해 공급가액 용역조사를 통해 교통카드단말기 시스템 공급 가를 60억원으로 책정했다. 하지만 C사가 "지나치게 낮다"며 이에 불응, S회계법인을 통해 재조사한 결과 적정 공급 가가 180억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C사는 공급가액을 재검토해줄 것을 요구했으나 시는 아직까지 묵묵부답 이다. 이처럼 동일제품에 대해 공급가액이 무려 120억원이나 차이가 난 데에 대해 C사는 "최초 공급가격 조사 때 시가 의도적으로 싼 부품만을 샘플로 잡아 단가를 낮춰버렸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통카드시스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C사는 교통카드단말기 운영기관인 지하철공사에 계약만료일이 석달이 지나도록 기술이전을 거부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서울시가 지하철 연장운행 등에 따른 요금 차등화를 위해 필수적인 교통카드 성능 개선사업도 차질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당시 공급가액 용역은 정당하게 진행됐다"며 "교통카드의 경우 공공성이 큰 사업인데도 업체가 자사의 이익만을 고집하고 있다"며 불만을 드러냈다. 하지만 C사는 "고건 전 시장때 시 관계자도 공급가에 대한 문제점을 공감해 재조정하기로 했으나 시장이 바뀌면서 다시 발뺌을 하고 있다"며 "회사로서 손해가 커 민사소송도 검토 중"이라고 반박했다. 이와 함께 서울시의 경우 현재 정보통신부가 전국의 전자화폐를 단일화하기위해 최근 전자화폐관련 5개사와 표준 SAM(보안응용모듈)을 만들어 보급키로 했으나 시가 이 안을 거부, 정부와 업체들에게 비난을 사고 있다. 교통카드 업체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의 이 같은 행보는 결국 시가 주도하는 '제3의 전자화폐'를 만들어 업체들에게 시 교통카드 정책을 저항 없이 따르게 할 의도"라고 불만을 털어놨다. 서울시 관계자는 "일부 회사만을 포함시킨 전자화폐 표준화는 받아들이기 힘들다"며 "공공성이 중요한 교통카드의 경우 좀더 많은 업체들이 참가하는 표준 셈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영일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