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28개社 퇴출.74개社 부실 징후

금감원, 1,040개 기업 상시평가 결과기업구조조정촉진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실시된 기업신용위험 상시평가에서 코스닥 등록기업 1개사를 포함한 28개사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없는 기업으로 선정돼 정리절차를 밟게 됐다. 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채권은행들이 지난해 하반기 1,040개 기업을 상시평가 대상기업으로 선정해 평가한 결과 신용공여 500억원 이상인 기업구조조정촉진법 적용대상 기업 3개사를 비롯해 총 28개사가 청산, 파산 및 법정관리 중단, 매각 등 퇴출절차를 밟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공여액이 500억원 미만인 25개 기업 중에는 채권매각이 추진되고 있는 코스닥 등록기업 1개사도 포함돼 있다. 채권은행들은 이와 함께 총 74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183개사를 부실징후기업이 될 가능성이 큰 기업으로 평가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해서는 채권금융기관협의회 등을 통해 관리방법, 채무재조정 등 구조조정 방안을 확정하고 해당 기업과 경영정상화 이행 약정을 맺도록 할 계획이며 부실징후가능성 기업에 대해서는 경영개선권고 조치를 내릴 방침이다. 그러나 정리대상으로 분류된 구촉법 적용 3개사는 모두 지난해 상반기 상시평가 결과 정리대상 기업으로 이미 선정된 곳이며 비 적용대상 25개사 중 10개사도 정리절차가 늦어지는 바람에 다시 정리대상으로 선정되는 등 성과는 대체로 미진했다. 특히 지난달 부도가 난 메디슨에 대해 채권은행들이 부실징후기업이 될 가능성이 큰 기업으로만 평가한 것으로 나타나 상시평가제도에 큰 허점이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외부감사팀이 참여하는 검사팀을 구성, 각 은행의 상시평가시스템이 적정한 절차에 따라 이뤄졌는지 여부에 대한 종합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이에 대해 "계속적인 상시기업구조조정에 따라 상당수 부실기업들이 이미 정리된데다 경기가 회복되면서 정리대상으로 선정된 기업들이 큰 폭으로 줄었다"고 말했다. 최윤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