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행복이란…

‘행복한 작은 왕국이 제시한 행복의 새로운 기준(A New Measure of Well-Being From a Happy Little Kingdom).’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일간지 뉴욕타임스(NYT)에 실린 기사 제목이다. 이 기사는 히말라야 산맥의 한자락을 차지하고 있는 소왕국 부탄이 추구하고 있는 ‘국민총행복(GNH Gross National Happiness)’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행복은 경제성장만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라 부의 분배, 환경 보호와 같은 요인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행복이 부와 비례하지 않는다’는 이야기가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유난히 이를 받침하는 기사들이 많이 실리고 있다. 최근 미시간대학이 전세계 63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행복지수 평가에서 소득수준이 낮은 중남미 국가들의 행복지수는 상위권을 차지했다. 또 미국의 ‘웹 MD 헬스’의 조사에서는 개인의 자부심이 높은 나라가 세르비아ㆍ칠레ㆍ이스라엘 순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한국인이 느끼는 행복과 자부심은 어느 정도일까. 불행히도 바닥권이다. 행복지수는 63개국 중 평균에도 미달하는 43위에 불과하다. 극심한 빈부격차를 경험하고 있는 중국이나 미국이 민주화 후진국이라 평가절하하고 있는 베네수엘라ㆍ베트남ㆍ키르기스탄 등보다도 순위가 낮다. 자부심 평가에서도 53개국 중 44위로 ‘최하위 톱10’의 불명예를 가지고 있다. 한국인들은 행복하지도 않고 자신이 하는 일에 성취감도 별로 없다는 얘기다. 한때 “여러분 지금 행복하십니까”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말이 크게 유행한 적이 있다.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가 그만큼 ‘행복’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무엇이 우리를 이처럼 행복하지 않게 만든 것일까. 최근 법원이 에버랜드의 전환사채(CB) 발행과 변칙 증여에 대해 유죄 판결을 내렸다. 하지만 유죄 선고는 수혜자가 아니라 변칙증여 담당자들이었다. 서울시는 서민 가족이 자주 찾는 공원 입장료를 올리겠다고 했다가 여론의 비난을 받자 꼬리를 내렸다. 우리들의 밥상에 올라오는 김치에는 납이 있다고 한다. 또 시대가 바뀌었어도 미국과 일본 대사관 앞에는 ‘닭장차’들이 길을 가로막고 우리를 노려보고 있다. 대한민국 헌법에는 ‘행복추구권’이 보장돼 있다. 하지만 “내가 그 권리를 행사하고 있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때는 아직 멀었나 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