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브라질 긴축·증세 둘러싸고 진통…정치권 강력 반발

야권 “모든 수당 동원해 증세 저지”

브라질 정부가 재정 건전성 확보를 위해 내놓은 긴축과 증세 조치를 둘러싸고 정치권과 노동계에서 격렬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정부 대책이 제대로 이행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금융시장 혼란이 가중할 것으로 우려된다.


16일(현지시간) 브라질 언론에 따르면 지우마 호세프 대통령은 전날 연립정권에 참여하는 주요 정당 지도부를 만나 긴축·증세 대책에 대한 지지를 촉구했으나 별다른 공감을 얻어내지 못했다. 연립여당들은 모든 상품 거래에 적용되는 금융거래세(CPMF) 부활과 지역개발 사업 위축을 들어 긴축·증세 대책에 반대 의사를 밝혔다. 호세프 대통령이 속한 노동자당(PT)을 제외하면 사실상 모든 연립여당이 협력을 거부한 셈이다. 야당들은 긴축·증세 대책을 주도한 조아킹 레비 재무장관을 비난하며 모든 수단을 동원해 증세를 저지하겠다고 밝혀 의회에서 치열한 공방이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이런 상황에서 연방정부 공무원 노조는 임금 삭감과 복지비 축소 등에 항의하며 오는 23일을 ‘투쟁의 날’로 선언하고 전면파업을 벌이겠다고 경고했다. 공무원 노조 관계자는 브라질리아에서 대규모 시위를 벌일 것이라면서 “연방정부 공무원들은 긴축·증세 대책을 거부한다”고 말했다.

앞서 브라질 정부는 긴축과 증세를 통한 650억 헤알(약 20조 원) 규모의 재정 확충 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내년 재정수지 흑자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0.7%로 끌어올리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애초 내년 재정수지 전망은 GDP 대비 0.5% 적자였다. 브라질 정부의 긴축·증세 대책은 국제신용평가회사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가 브라질 국가신용등급을 ‘BBB-’에서 투기등급인 ‘BB+’로 내리면서 나온 것이다. S&P는 재정 악화를 국가신용등급 강등의 주 요인으로 꼽았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