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소상인 "우리 가게 경쟁력은 대형점의 64%"

소상인들은 자기 점포의 경쟁력이 인근 대형점포의 64% 수준에 그친다고 평가하고 있다는 조사결과가 5일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성)가 서울 소재 일반상가, 재래시장, 지하상가, 종합상가 등에서 영업하고 있는 소상인(상시근로자 5인 미만) 500명을 대상으로 `소상인경영실태 및 의식'을 조사한 결과, 이들은 자기 점포의 경쟁력이 인근 대형점포의 64.3%수준에 그친다고 응답했다. 대형점포에 비해 경쟁력이 취약한 부문으로 영업력(대형점포의 36.7%), 쇼핑 편의성(58.0%), 자금력(61.0%), 가격 경쟁력(64.1%) 등을 꼽았으며 경쟁우위를 점하는부문으로는 고객과의 친밀성(101.2%)을 들었다. 소상인들의 취약한 경쟁력은 매출액, 내방객 감소로 직결돼 이들의 월평균 매출액은 작년보다 평균 10.5%, 내방객은 9.8% 각각 줄었다. 소상인들은 또 영업환경 악화의 주요 원인으로 78.7%가 소비자 구매패턴 변화를들었으며 이외에도 경쟁심화(8.1%), 유가 등 비용상승(6.1%) 등을 꼽았다. 2006년 매출전망에 대해서는 절반(50.4%)에 이르는 응답자가 현재와 비슷한 수준일 것이라고 응답했고 악화될 것이라는 의견은 31.8%, 개선될 것이라는 의견은 17.8%로 조사됐다. 미래에 대한 희망이 줄어들면서 소상인의 가업의식 역시 희박해져 `자식에게 사업을 물려주겠는가'라는 물음에 7.2%만이 그럴 계획이라고 답했다. 한편 소상인들은 정부가 소형점포 지원을 위해 추진해야 할 과제로 `세제혜택'(36.2%), `자금지원'(16.0%) 등을 꼽았다. 아울러 소상인들의 95.2%는 자신들이 원하는 것들이 정부 정책에 반영되고 있지않다고 생각하고 있어 `정책소외'에 대한 불만해소가 시급한 문제로 지적됐다. (서울=연합뉴스) 신삼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