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부문에서 정확하고 공정한 성과관리가 과연 가능할까. 많은 사람들은 공공 부문은 민간 부문과 달라서 정책목표가 명확하지 않고 공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성과평가가 어렵다고 말한다.
물론 공공 부문의 성과평가를 민간 부문처럼 계량적으로 증명하기가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나 평가가 어렵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공공 부문이 성과관리를 도외시한다는 것은 업무성과에 대한 책임을 회피한다는 것이고 이는 결국 업무 비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지난 5월1일 중앙행정기관 중 최초로 기업형 책임운영기관으로 전환한 특허청은 민간경영기법인 균형성과지표(BSC)에 의한 전략적 성과관리시스템을 발전시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관리시스템은 조직의 전략목표와 개인의 성과목표를 연계해 개인실적을 평가하고 이밖에도 개인의 역량평가, 혁신마일리지 등 다원화되고 정교한 평가요소를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는 직무에 따른 중요도ㆍ난이도를 고려해 직무등급을 도입함으로써 직무중심의 조직문화 정착에 노력하고 있다.
새로운 평가시스템의 도입은 조직문화를 연공서열 중심에서 변화와 혁신, 성과중심으로 변화시켰다. 과거 승진 따로 일 따로의 문화에서 열심히 일하는 사람이 보상을 받는 시스템으로 변화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변화에 모든 직원들이 만족하고 동참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과거 연공서열 중심의 향수에서 벗어나지 못해 성과중심의 큰 흐름에 대해 적응하지 못하고 불만을 표시하는 직원들도 일부 있었다. 그러나 팀장에 대한 평가교육 강화, 성과면담 활성화, 이의신청 등을 통한 피드백 기회제공을 통해 성과관리에 대한 공감대가 이뤄져 이제는 조직 전반에 성과지향적인 문화가 형성돼가고 있다.
조직문화의 혁신은 올바르고 신뢰성 높은 평가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다. 성과측정이 어려운 공공 부문인 정부부터 신뢰성 높고 정확한 평가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한다면 고객인 국민에 대한 책임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