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 藏頭露尾(장두노미)

진실을 감추려 전전긍긍하는 모습<br>“천안함, 민간인불법사찰 등 감추기에만 급급”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에 '진실을 감추려 전전긍긍하는 모습'을 표현한 '장두노미'(藏頭露尾)가 선정됐다. 교수신문은 지난 8일부터 16일까지 전국 각 대학 교수 2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41%가 올해의 사자성어로 '장두노미'를 꼽았다고 19일 밝혔다. 장두노미(감출 장, 머리 두, 드러낼 노, 꼬리 미)란 머리는 숨겼지만 꼬리는 숨기지 못하고 드러낸 모습을 뜻하는 말로 '쫓기던 타조가 머리를 덤불 속에 처박고서 꼬리는 미처 숨기지 못한 채 쩔쩔매는 모습'에서 생겨난 말이다. 이 말은 원래 중국 원나라의 문인 장가구(張可久)가 지은 '점강진·번귀거래사', 같은 시기 왕엽(王曄)이 지은 '도화녀'라는 문학 작품에 나오는 성어다. 진실을 밝히지 않고 꼭꼭 숨겨두려 하지만 그 실마리는 이미 만천하에 드러나 있다는 뜻으로, 속으로 감추는 것이 많아서 행여 들통 날까 전전긍긍하는 태도를 뜻하기도 한다. 교수신문은 "올해에는 천안함 침몰, 민간인 불법사찰, 영포게이트, 한미 FTA 졸속 협상, 예산안 날치기 처리 등 수많은 사건이 터졌다"며 "일이 불거질 때마다 정부는 국민들에게 진실을 공개하고 의혹을 해명하기는커녕, 오히려 진실을 덮고 감추기에 급급해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여 드러난 꼬리를 붙들고서 몸통을 들여다보려는 사람이 있으면 곧 국가가 나서서 국민을 기소하거나 검찰이 나서서 공안사범으로 몰아버리는 행태가 일상화됐다"며 "국가를 감시 해야 할 주권자가 오히려 국가로부터 감시를 받는 불행한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교수들은 이 밖에도 얽히고 설켜 도저히 해결할 수 없는 난제를 뜻하는 '반근착절'(盤根錯節), 골육상쟁의 관계를 상징하는 '자두연기'(煮豆燃기ㆍ기는 콩깍지 기), 안전할 때일수록 위기를 잊지 말아야 한다는 '계우포상'(繫于包桑), 이전보다 발전했지만 아직 안정된 상태가 아니라는 뜻의 '혹약재연'(或躍在淵) 등이 순위에 올랐다. 앞서 2009년에는 일을 바르게 하지 않고 그릇된 수단을 써 억지로 한다는 뜻의 '방기곡경'(旁岐曲逕)이 올해의 사자성어로 선정된 바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