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동향

[서울경제TV] 韓경제 특정 대기업의존도, 주요 15개국중 최고

한국 경제의 삼성전자 의존도가 주요 15개국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국제통화기금(IMF)과 블룸버그 등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전자의 매출액은 1,959억2,000만 달러(223조9,000억원)로 한국의 명목 국내총생산액(GDP)인 1조4,169억 달러(1,691조원)의 13.83%에 달했다. 이는 GDP 1조 달러가 넘는 15개국 가운데 가장 높았다.


국가 내 부가가치의 합인 GDP와 기업의 총판매액을 뜻하는 매출액은 개념이 달라 단순 비교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다. 그러나 특정 국가가 특정 기업에 어느 정도 의존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기도 한다. 삼성전자의 매출이 국내보다 해외가 훨씬 크다는 점에서 GDP와의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럼에도 1개 기업의 매출액이 한 나라 GDP의 14%에 달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영국의 BP 매출액(직전 회기연도 기준)은 3,535억7,000만 달러로 GDP(2조9,451억 달러)의 12.01%에 이르러 삼성전자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나머지 13개국에서 매출 1위 기업의 GDP 대비 매출액 비율은 모두 10% 미만이었다.


러시아 대표기업인 가스프롬은 GDP 대비 매출액 비율이 7.97%로 3위였고 이탈리아 엑소르(7.56%), 프랑스 토탈(7.45%)이 각각 4위와 5위를 차지했다.

관련기사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으로 홍역을 치르는 독일의 자동차업체 폴크스바겐은 한 해 동안 2,689억6,000만 달러의 매출을 올렸다. 이 업체의 매출은 독일 GDP 총액(3조8,595억 달러)의 6.97%에 해당한다.

스페인 방코 산탄데르(6.83%), 브라질 페트로브라스(6.10%), 일본 도요타(5.39%), 멕시코 아메리카 모빌(4.97%), 중국 시노펙(4.35%)의 비율은 7%를 넘지 않았다.

호주 웨스파머(3.82%)와 인도의 인도석유(3.59%), 미국 월마트(2.79%), 캐나다 매뉴라이프(2.69%)의 매출액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삼성전자의 매출액 비율은 한국과 GDP 규모가 비슷한 호주, 스페인과 비교하면 2∼3배 수준이다.

삼성전자 매출액과 국내 2위 업체인 현대차(5.98%)매출액을 합치면 한국 GDP의 20%에 육박한다. 삼성전자 등 대기업으로의 경제력 쏠림 현상이 점점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이 창출한 부가가치총액(2013년)은 140조2,000억원으로 GDP의 10% 수준에 달했다. 4대 그룹의 부가가치 총액은 전년보다 3.7% 증가했고 500대 기업 내 비중도 50.7%에서 55.2%로 높아졌다. 이들 4대 그룹을 뺀 나머지 500대 기업의 부가가치 총액은 전년보다 13.5%나 감소해 4대 그룹 의존도는 더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