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입장 변화 조짐?

'6자회담 복귀할테니 美금융제재 해제요구' 설<br>"정부선 큰 비중둘 사안 아니다"


北, 입장 변화 조짐? '6자회담 복귀할테니 美금융제재 해제요구' 설실제 발언여부 확인 어렵고 관련국 해석달라 혼선 가중 이성기 기자 sklee@sed.co.kr 대북제재에 대한 미ㆍ일ㆍ중ㆍ러의 혼선과 외교전이 치열해지는 속에서 6자 회담 복귀에 대한 북한의 입장에 변화가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레 제기되고 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19일 중국측 특사인 탕자쉬안(唐家璇) 국무위원에게 "6자 회담에 먼저 복귀할 테니 미국은 6자 회담에 임한 뒤 가까운 시일 내 금융제재를 해제하라"는 요구를 전달한 것으로 뒤늦게 알려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김 위원장의 메시지에 대한 중국이나 북한의 후속 언급이 전무하고 관련국들뿐만 아니라 정부 내 해석도 제각각이어서 혼선만 가중되는 형국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22일 "중국 측이 주중 한국대사관에 전한 내용에는 '추가 핵실험을 하지 않는다'는 김 위원장의 말이 들어 있다"며 "전후 맥락이나 전제로 보일 만한 모호한 부분에 대해 신중히 고려해야 하겠지만 당분간 추가 핵실험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핵실험 유보' 계획을 처음 밝힌 점과 6자 회담 복귀 전제조건으로 미국의 선(先) 대북 금융제재 해제를 요구하던 입장에서 한발 물러선 듯한 태도는 긍정적으로 평가할 부분이 있다는 설명이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도 "금융제재의 모자를 쓴 채 6자 회담에 나가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은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고 무게를 실었다. 외교부 등 정부는 그러나 북한의 입장이 여전히 전제조건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큰 비중을 두지 않는 분위기다. 더군다나 김 위원장이 실제 그런 발언을 했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구체적 확인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그 동안 여러 차례 무엇을 할 테니 먼저 뭘 해달라는 식의 발언을 해왔었다"고 말해 특별한 의미 부여를 할 필요가 없다는 시각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의 이 같은 메시지에 대해 일단 북핵 사태에 대한 '공'을 넘긴 뒤 미국을 비롯한 각국의 행보를 관망하기 위한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현 단계에서 북핵 사태의 실타래가 쉽사리 풀리긴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다. '무조건적인 6자 회담 복귀'를 주장하고 있는 미국에 김 위원장의 메시지는 대수롭지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21일 탕 국무위원과의 회담 후 가진 인터뷰에서 "북한으로부터 6자 회담에 돌아오겠다는 확약으로 보이는 어떤 특별한 메시지도 없었다"고 밝혀 '북한 방문이 헛되지 않았다'는 탕 국무위원과는 다른 시각을 드러냈다. 라이스 美국무, 러 방문 "북한이 위기 조장한다" 한편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은 2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회동을 갖고 "북한이 위기를 조장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북한의 추가 핵실험 저지를 위해 러시아의 협조를 구했다. 이에 앞서 라이스 장관은 21일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과의 회담에서 안보리 대북 제재 이행을 촉구했다. 하지만 라브로프 외무장관은 "북한에 대한 과도한 제재는 반대한다"고 밝혀 입장차이를 드러냈다. 입력시간 : 2006/10/22 17:31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