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은 제33회 저축의 날. 이 날을 보내며 저축의 의미를 새삼 짚어보게된다. 한국경제가 미동을 시작하던 1964년 저축의 날이 제정될 당시 우리의 국력은 최빈국 수준이었고 총저축률도 10%대의 미미한 수준이었다. 없는 살림이지만 허리띠를 졸라매고 저축을 해서 잘 살아보자는 일념으로 모두가 뭉쳤던 시절이었다.그같은 국민적 열기와 정성을 밑거름으로 우리 경제는 눈부신 성장을 거듭해 작년에는 1인당 국민소득이 1만달러에 이르렀고 올들어 선진국클럽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가입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지금의 한국경제는 선진국 수준에 값하고 있는가. 올들어서 우리 경제는 위기상황을 맞고 있다. 경상수지 적자와 외채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고 내년의 경제는 올해보다 더 어려울 것이라는 연구보고들이 잇따르고 있다.
저축의 날 아침에 언론에 보도된 해외 과소비사범 기사는 그 점에서 우리를 더욱 우울하게한다. 호텔비로 1억6천만원을 쓰고, 도박판에서 하루에 6천만원을 날리고, 보석 하나 사는데 3천4백만원을 물쓰듯 하는 사람들이 수두룩한 현실은 우리 경제의 어려움이 어디서 연유하고 있는가를 보여준다.
국가든 가계든 버는 것보다 더 쓰면 빚을 지게 마련이다. 빚을 지지 않으려면 덜 쓰고 아껴 쓰는 수밖에 없다. 지금의 과소비현상은 금융실명제 금융종합과세 등의 도입 이후 일부 부유층에 의해 주도되는 측면이 없지 않으나 각종 지표로 볼 때 전반적인 현상임이 확연하다.
우리나라의 총저축률은 36.2%(95년도)로 아직은 세계최고 수준이다. 그러나 90년 이후 총저축률은 뒷걸음인데 총투자율은 줄곧 상승세를 보여 지난해에는 37.5%로 총저축률을 상회하고 있다. 부족한 투자재원을 외국에서 들여와야 할 형편이다. 도시가계저축률이나 개인금융저축률도 뚜렷한 하향추세다.
그동안 다분히 소비조장적인 정책을 펴온 정부가 과소비바람이 거세지자 「경쟁력 10% 높이기」운동과 관련,저축증대를 강조하고 나섰다. 금융기관이 내놓은 비과세 저축상품이 바로 정책전환의 산물이다. 금융실명제와는 어긋나는 것이다. 그런 상호모순적 수단을 동원해야 할 만큼 우리의 경제가 어려운 지경임을 말해준다.
이 시점에서 경제주체들이 해야 할 일은 소비를 합리화하는 일이다. 푼돈을 아껴서 목돈을 만드는 마음이 바로 국력이다. 또 어려울 때일수록 저축은 더욱 값지다. 국민 모두가 저축의 날을 제정하던 당시의 초심으로 돌아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