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은행들이 자산관리공사(캠코)와 연합자산관리(유암코) 등에 또 다시 부동산PF 부실채권 매입을 요청했다. 캠코는 은행권의 요청에 따라 부동산 PF 등 부실채권을 면밀히 분석해 필요하다면 구조조정기금을 통해 매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다만 부동산 시장 침체기에 공적자금을 투입했다가 손실을 볼 수도 있어 구조조정기금 투입에 신중한 모습이다. 4일 금융계에 따르면 금융감독당국과 시중은행들은 지난달 ‘부동산PF 부실채권 정리 태스크포스팀(TFT)’을 구성하고 부실채권 상각 또는 사업장 구조조정 등 처리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시중은행들은 일단 이달 9일께 모여 부실 부동산 PF대출 처리 방안에 대해 의견을 모은 후 이달 말까지 대책을 마련해 금융당국에 제출하기로 했다. 은행별로 가격산정과 사업장 평가 등 논의해야 할 문제가 많아 우선 연말까지 정부에 공동 매입을 요청할지 아니면 개별 은행별로 캠코에 요청할 지 결정키로 했다. 각 은행들은 현재 캠코에 부동산 PF부실채권 매입을 요청한 상황이다. 은행 공동으로 부실채 정리를 위한 공동 방안을 마련하기 전까지는 각 은행별로 캠코와 논의해 부실채를 정리하겠다는 것이다. 금융당국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개별적으로 캠코에 부실채권의 일부를 매각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은행들에 부동산 PF 부실대출에 대해 별도의 정리계획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캠코도 은행권의 부동산 PF대출을 포함한 부실채권에 대해 세부 점검에 착수했다. 캠코의 한 관계자는 “은행들이 보유한 부실채권 규모가 자체 정리가 가능한 수준인지 따져보고 있다”며 “아직 구체적인 방향 등이 정해지지 않아 구조조정기금을 통해 매입할 지는 판단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금융계에서는 금융당국이 공적자금 사용이라는 ‘카드’를 쉽게 꺼내 들긴 어려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금융계의 한 관계자는 “은행 부동산PF부실채권 비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긴 하지만 은행의 손실흡수능력을 고려할 때 은행 자체적으로 부실채 정리가 가능한 수준”이라며 “부동산 시장상황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공적자금을 투입했다가 손실이 나면 후유증이 만만치 않아 결정하기 부담스런 상황"이라고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