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택지개발지 투기 극심/28곳 조사

◎지정후 땅값 2∼5배로/외지인 소유 70%까지/재벌기업도 한몫가세/보상비 급증… 분양가에 전가택지개발지구내 부동산 투기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건교위의 한국토지공사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윤수 의원(국민회의)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93년부터 96년까지 4년 동안 보상에 착수한 28개 택지개발지구의 보상착수 땅값은 당초 지구지정시점보다 62%나 올랐으며 의정부 민락과 수원 영통지구의 보상비는 지구지정때보다 각각 5.2배와 4배 오르는 등 2배 이상 증가한 지구가 10개에 달했다. 이에따라 토공의 토지보상비가 무려 1조8백57억여원이나 증가해 택지분양가 상승에 따른 아파트 분양가 인상으로 전가되는 부작용을 초래한 것으로 지적됐다. 의정부 민락지구는 지난 89년 10월 지구지정시 평당 16만7천8백40원 하던 땅값이 93년초 보상에 착수할 때는 88만3백70원으로 무려 4백24%나 증가했다. 수원 영통지구도 지난 89년 10월 지구지정시 평당 12만4천2백70원에서 92년 12월 보상 착수시점에는 평당 43만7백80원으로 4배나 증가했다. 이로인해 당초 1천1백93억6천만원으로 책정됐던 토지보상비가 사업착수시에는 4천2백88억5천만원으로 조정돼 무려 3천1백93억원이나 늘어났다. 특히 영통지구의 경우 토공의 보상필지 1천7백78필지 중 57%에 달하는 1천9필지가 외지인 소유였으며 지구 중심지인 영통리의 경우 7백64필지중 70%인 5백36필지가 외지인 소유로 보상비 4천2백88억원 중 절반 이상이 외지인 차지였다. 삼성생명도 영통에만 75필지의 땅을 소유, 약 1백28억원을 보상받아 대기업이 투기를 부추긴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밖에 남양주 창현, 수원 천천, 원주 단관, 춘천 칠전, 아산 용화2, 양산 서창, 대구 칠곡3, 김천 교동 등 8개 지구도 땅값이 2배 이상 올랐다.<정재홍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