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이랜드 매장점거' 파장 확산

인권위·점포주들도 가세…노사 16일 교섭 재개

이랜드 노조의 매장 점거농성이 장기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가인권위원회와 입점 점포 주인들까지 이 사태에 가세해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이랜드 노사는 16일 저녁 교섭을 재개했지만 타결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랜드 노조는 이날 오전 “서울 상암 홈에버 월드컵점과 뉴코아 강남점의 출입을 경찰이 통제하는 것은 농성자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인권을 유린하는 감금”이라고 주장하며 인권위에 긴급구제를 신청했다. 뉴코아 강남점은 사측이 출입문들을 용접 등으로 봉쇄했고 남겨둔 정문은 경찰이 진입을 통제하고 있으며 월드컵점도 지난 11일부터 경찰이 조합원 등의 농성장 추가 진입을 막고 있다. 인권위는 이랜드 노조의 긴급구제 신청을 받아들여 이날 오후 홈에버 월드컵점과 뉴코아 강남점을 실사했다. 인권위의 한 관계자는 “상임위원회에서 논의를 거쳐 시정을 권고할지 여부를 18일께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랜드 노조의 매장 점거농성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입점 점포 주인들도 이날 영등포 민주노총을 항의 방문해 농성 중단을 촉구했다. 뉴코아 강남점 및 홈에버 월드컵점 점포 주인 500여명은 “민주노총이 주도해 노조가 뉴코아 매장을 점거하면서 매출에 엄청난 타격을 받았고 불매운동으로 매장주들의 생존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민주노총을 상대로 손해배상을 청구하고 이석행 위원장을 상대로 법적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랜드 노사는 이날 오후7시 서울노동청 관악지청에서 오상흔 홈에버 사장, 최종양 뉴코아 사장, 김경욱 이랜드 일반노조 위원장, 박양수 뉴코아 노조위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협상을 재개했다. 이랜드 사측은 노조가 농성을 먼저 풀지 않으면 대표자급 만남을 고려하지 않겠다던 기존 입장에서 한발 물러나 이날 협상을 먼저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사측이 여전히 점거농성 해제를 협상의 기본 전제로 삼고 있는 반면 노조는 해고자 복직과 외주화 철회 등 요구사항이 먼저 받아들여져야 농성을 풀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쉽게 타협점을 찾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