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무공천 강행 후 대국민 홍보로 정면돌파 하나

기초공천 놓고 벼랑 끝에 선 안철수·김한길

朴대통령 면담요청 거부에 리더십 타격… 대응책 관심

선거 보이콧도 거론되지만 현실성 떨어져 쉽잖을 듯


안철수·김한길 공동대표가 벼랑 끝에 섰다.

당내 무(無)공천 철회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문전박대를 당한 만큼 리더십 회복을 위한 대책을 내놓아야 하기 때문이다. 박준우 청와대 정무수석은 7일 국회 새정치민주연합 당 대표실을 찾아 안 대표가 제안한 박 대통령과의 면담 요청에 대해 거부 입장을 공식 통보했다. 박 수석은 이 자리에서 "각 당이 지방선거 체제로 전환하고 있는 마당에 정치적 문제를 이야기하는 게 시기적으로 적절하지 않다"는 박 대통령의 입장을 다시 한 번 반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새정치연합이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어떤 대응책을 내놓을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그리고 그 대응책에 따라 새정치연합의 정치적 운명이 어떻게 바뀔지도 관심이다.


첫 대안은 무공천 철회다. 그러나 금태섭 대변인은 이날 박준우 정무수석과 관련해 기자들과 만나 "무공천 방침에는 변함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지도부 입장에서는 당내 반대에도 불구하고 밀어붙였던 결정을 철회하게 되면 리더십 타격과 함께 새누리당의 결정에 끌려가는 모양새로 비쳐칠 수 있어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다.

관련기사



또는 무공천 결정을 이어가지만 선거 판세가 이미 기울어진 영남과 호남 지역을 제외한 수도권 일부와 충청 등에서만 특정 후보를 지지하는 방안도 가능하다. 그러나 이 경우 새누리당으로부터 '앞에서는 무공천, 뒤로는 공천'이라는 꼼수 비난에 휩싸일 가능성이 높아 지도부가 결정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민병두 의원이 제기한 것처럼 지방선거를 전면 보이콧하는 방안도 떠오르고 있다. 기초선거는 물론 광역 단체장까지 야당이 후보를 내지 않게 되면 투표율이 떨어져 새누리당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다만 보이콧을 할 경우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도 당원들로부터 거센 비판을 감수해야 함은 물론 무책임한 정치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어 현실성이 떨어진다.

지방선거법 개정 가능성도 남아 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서울시당·인천시당·경기도당 주최 '기초선거 정당 공천 폐지 입법 관철을 위한 결의대회'에서 "4월 국회에서 기초선거 정당 공천 폐지 법안을 관철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국회선진화법으로 인해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이다.

결국 무공천 결정을 이어가면서 지방선거까지 새누리당과 청와대를 향해 지난 대선에서의 기초선거 무공천 공약 준수를 이어가며 국민들을 대상으로 직접 홍보에 나설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실제 김·안 공동대표는 당내에서 청와대의 무공천 거부에 따른 공천 주장이 더욱 거세질 것에 대비해 전국을 돌며 국민과 당원들을 대상으로 새정치연합의 기초선거 무공천 결정의 불가피성을 알리고 무공천 서명운동을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