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유치원·학원등 실내세균 '득실'

유치원ㆍ학교 등 교육시설의 실내 세균농도가 외국 기준치의 최고 6배에 달하는 등 이에 대한 개선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교육청은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에 의뢰해 지난해 7∼12월까지 부설 유치원을 포함한 초등학교 1개, 고등학교 2개 등 서울시내 3개 학교의 환경위생 상태를 조사한 결과 공기 중에 떠도는 세균이 타이완 권고수준인 500CFU/㎥(1㎥당 세균 군집수)를 6배 웃도는 3,000 CFU/㎥까지 검출됐다고 28일 밝혔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세균은 습하거나 환기가 잘 안될 때 증식하며 전염성질환과 알레르기성질환ㆍ호흡기질환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더욱이 어린아이들의 활동량이 많은 유치원의 부유세균 농도가 일반 학교보다 더 높았으며 위생이 중요한 교내식당도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파악됐다. 보건과학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온도ㆍ습도 등 기후적 영향에 의한 것도 있겠지만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 식당과 유치원의 경우 공기정화설비 설치 등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체에 들어가 각종 호흡기질환을 일으키는 미세먼지 농도도 학교보건법 기준치 150㎍/㎥의 6배 가량인 최고 898.8㎍/㎥로 나타났다. 미세먼지 농도는 학교 주변에 공사장이 있는 경우 기준치를 크게 초과했다. 교실의 이산화탄소 농도는 창문을 열어놓는 여름철에는 보건복지부 공중위생관리법 기준치인 1,000ppm을 밑돌지만 창문을 닫고 수업하는 동절기의 경우 기준치를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건축재료ㆍ페인트 등에서 배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ㆍ톨루엔은 신축학교에서 여름철에 일본 기준치인 0.07ppm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