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 25만~30만명 학살"

한국전쟁전후 민간인학살 보고서 발표<br>규명위 "모든 진실 최대한 밝히는 것 중요"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진상규명 범국민위원회(학살규명위)는 11일 오후 서울의대 동창회관에서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 실태보고서' 출판기념회 및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보고서는 학살규명위가 1945∼1953년간 남한에서 발생한 민간인 학살사건에 대해 지난 5년간 전국에 걸쳐 생존자와 유족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를 모은 것으로 이처럼 전국적이고 방대한 조사결과가 발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700여쪽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금까지 확인된 학살은 모두669건으로 6ㆍ25 이전의 학살 90건과 보도연맹원ㆍ예비검속 학살 145건 등이 포함됐으며 특히 미군에 의한 학살도 120건에 달했다. 학살규명위는 그러나 "사건마다 증언도 다양하고 기록조차 엇갈려 피해자수를정확히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대략 25만∼30만명이 학살된 것으로 파악된다"며 "아직보고되지 않은 사건을 고려할 때 피해자는 100만명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학살규명위는 출판기념회에 앞서 한국제노사이드연구회, 서울대 민교협 등과 함께 `올바른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해서 무엇을 할 것인가'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고국내외 과거청산 사례를 검토하고 과거사위원회의 나아갈 방향에 대해 토론했다. 이들은 심포지엄에서 스페인과 아르헨티나, 대만, 러시아 등 해외에서 일어난민간인 학살사건과 진실규명 노력을 소개하는 한편 제주 4.3사건, 5.18광주항쟁 등에 대한 국내 진상규명 활동의 의의와 한계점을 검토했다. 학살규명위 이춘열 사무처장은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방향' 발표에서 "진상조사의 원칙은 피해-가해나 좌-우익 구분없이 모두 조사하고, 마을단위에서 국가까지,말단에서 최고책임자까지 모든 책임을 밝혀내는 것"이라며 "법이 허용하는 한도에서모든 진실을 최대한 밝혀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 처장은 "국가권력에 의한 집단학살은 가장 큰 인권유린이고 이를 반세기 이상 방치한 것은 국가와 사회의 심각한 직무유기"라며 "민간인학살 진상규명의 목적은 인간 생명의 소중함을 다시 한 번 성찰하자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