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美 블로거, 평양 대공포망 발가벗겼다

SetSectionName(); 美 블로거, 평양 대공포망 발가벗겼다 구글 위성사진 분석해 424개 진지 찾아내 임웅재기자jaelim@sed.co.kr 평양의 대공포 진지와 화망도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미국의 군사 전문 블로거가 수년간 구글어스 위성 영상을 분석, 북한 평양의 대공포 배치도를 거의 완벽하게 그려냈다. 블로거 '플레인맨(Planeman)'은 자신의 블로그(http://planeman-bluffersguide.blogspot.com)에 평양 일대의 대공포 배치 상황을 자세히 분석한 `북한의 수도-방어망 해부'라는 글을 올렸다. 플레인맨은 북위 38.77∼39.35도, 동경 125.25∼126.25도 사이의 평양 일원을 샅샅이 훑어 모두 424곳의 대공포 진지를 찾아냈다. 대공포 구경별 진지 수는 100㎜ 11곳(3%), 57㎜ 49곳(12%), 37㎜ 114곳(27%), 14.5㎜ 250곳(59%)으로 추정했다. 진지의 대공포 구경이 37㎜인지 57㎜인지 구분하기 어려운 곳도 있지만 정확도가 70~80%는 될 것이라고 플레인맨은 추정했다. 과거 대공포가 있었지만 지금은 비어있는 곳도 126곳에 달했다. 플레인맨이 대공포의 사거리 등을 고려해 `화망도(火網圖)'를 그려본 결과, 평양은 지구상에서 가장 촘촘한 대공포망을 가진 수도였다. 사거리가 길고 레이더 추적 기능이 있는 여러 종류의 지대공 미사일(SAM)까지 감안하면 유사시 평양을 공습할 항공기에 강력한 위협이 될 수밖에 없다. 플레인맨은 그러나 "평양의 대공포 숫자가 매우 많지만 순항미사일이나 높은 고도에서 고속 이동하는 제트기, 스텔스기 등을 상대하기엔 매우 부적절하다"고 약점을 꼬집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