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일본 대지진] 국내 원전, 지진에 안전한가

일본 지진으로 후쿠시마현 원자력발전소에서 방사능 물질이 유출되며 피폭자가 발생하자 국내 원전의 지진 대비 안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원전 파괴로 방사능이 대거 유출될 경우 대재앙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원전은 일본 보다 안전하다는 분석이다. 국내 원전의 내진 설계는 일본에 비해 기준이 낮지만 강진 가능성이 낮은 한반도의 지질 특성을 감안하면 불안해 할 필요가 없다는 게 정부측 설명이다. 13일 교육과학기술부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에는 지난 달 상업 운전을 시작한 신고리 1호기를 비롯해 총 21기의 원자력발전소가 가동 중이다. 원전 설비용량은 1만8,716만kW로 국내 전체 발전 설비용량의 24.6%에 달한다. 이들 국내 원전은 규모 6.5의 지진, 0.2g 중력가속도(지진으로 실제 건물이 받는 힘)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있다. 중력가속도 0.4g, 규모 7.2의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일본보다는 약한 수준이다. 그러나 한반도는 강진 가능성이 낮아 이 정도로도 충분하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국내 원전들은 규모 6.5의 지진이 해당 원전의 하부에서 발생해도 냉각수 등의 유출이 전혀 없는 상태를 안전 기준으로 지어졌다. 또 국내 원전은 이번 일본 원전 사고와 같이 냉각장치가 작동을 멈춰도 자연대류 방식으로 어느 정도 대체할 수 있는 시스템도 갖추고 있다. 홍남표 교과부 원자력안전국장은 “원전을 운영하는 나라들은 자국의 지형적 조건에 맞게 설계를 하기 마련”이라면서 “용기나 구조물을 비롯해 핵연료 및 방사능 유출에 대비해 5중의 안전 장치를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내진설계가 잘 돼 있는 일본도 그 규모를 뛰어넘는 강진에는 문제가 발생했고 한국도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점에서 철저한 대비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월성 원전에서 5km 떨어진 곳에 활성단층이 존재하고 있어 지진 발생의 위험에 노출돼 있는 상태다. 조봉곤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초창기 원전은 규모 6.5, 중력가속도 0.2g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됐고, 최근에는 규모 7.0, 중력가속도 0.3g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등 우리나라는 원전 내진 설계를 보수적으로 하고 있다”면서도 “지진의 성격에 대한 규명이 제대로 이뤄져 있지 않은 상태여서 내진 설계의 안전성과 타당성을 이야기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같은 규모의 지진이라고 하더라도 피해형태와 파괴력이 다른 만큼 국내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성격에 대한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에 따라 내진 설계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일본 지진의 진앙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울진 원전(거리 1,154km)의 원전부지 지진감시계에 기록된 지반 가속도 값은 0.0006g으로 미미한 수준으로 파악됐다. 원자력 안전규정상 0.01g 이상이면 경보를 발령하고 원자로를 가동하면서 안전점검을 벌이며 0.1g 이상이면 원자로를 정지시킨 뒤 점검을 진행한다. 그러나 정부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현재 환경방사능감시 상황반을 운영하고, 전국 70개소에 설치ㆍ운영 중인 국가환경방사능감시망의 감시 주기도 평소 15분에서 5분으로 단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