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해수부 "뉴질랜드와 FTA, 수산분야 유리하게 타결"

해양수산부는 한·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이 기존의 호주, 캐나다, 유럽연합(EU), 미국 등과의 FTA와 비교할 때 수산분야에서 유리하게 타결됐다고 18일 밝혔다.

국내 수산물 수입시장에서 뉴질랜드산 비중이 작년 기준으로 0.5%(1,800만 달러)로 다른 국가보다 낮은데다 개방 수준(품목수 기준 99.1%, 수입액 47.0%)이 기존 FTA보다 낮게 책정됐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기존 FTA의 개방수준은 ▲ 호주 품목수 99.1%, 수입액 91.2% ▲ 캐나다·미국 품목수와 수입액 모두 100% ▲ EU 품목수 99.3%, 수입액 99.7%로 돼 있다.

관련기사



특히 이번 협상에서 국내 주요 어종인 명태(냉동), 오징어(냉동), 전복(생물, 신선, 냉장) 등 총 3개 품목을 양허 대상에서 제외했고 뉴질랜드의 최대 주력 품목인 홍합에 일정물량의 저율할당관세(TRQ)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해 수급조절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해수부는 또 뉴질랜드의 모든 수산물 품목의 관세가 즉시 철폐됨에 따라 김과 어류 가공품 등 우리 주력 품목이 무관세로 뉴질랜드에 들어갈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해수부는 한·뉴질랜드 양국이 기존 워킹홀리데이를 1,800명에서 3,000명으로 확대해 농림수산 분야에서 뉴질랜드의 선진 수산업기술 공유로 우리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