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정보기반 지능형 폐자동차 해체시스템 개발

KIST 박면웅 박사팀 "폐차 해체 정보 시스템으로 관리"<br>폐차 재활용률 70%→95%로 향상, 환경오염 감소 효과도

폐자동차의 재활용률을 현행 70%에서 95%이상으로 끌어올린 `지능형 폐자동차 해체시스템'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돼 폐차 현장에 설치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면웅(朴勉雄) 박사팀은 재활용 전문업체인 ㈜이앤텍, 수원대 등과 산ㆍ학ㆍ연 공동연구를 통해 국내 최초로 전산 관리체계를 접목한 지능형 폐자동차 해체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이앤텍의 경북 포항 공장에 연간 6천대 폐자동차를 해체할 수 있는 규모로 설치됐다. 시스템은 ▲폐차 인수ㆍ검사 ▲액상류 회수 ▲재사용품 회수 ▲내ㆍ외장재 해체 ▲엔진룸 해체 ▲반전작업 ▲차피 압축 ▲부품관리 등 8개 해체 프로세스로 구성돼 있다. 폐차 인수ㆍ검사 과정에서는 폐차의 상태를 검사해 재사용 가능한 기능부품을 선정, 꼬리표를 부착해 정보 시스템에 등록하고 액상류 회수과정에서는 환경오염원인 기름, 엔진오일, 미션오일 등을 회수ㆍ분리해 저장한다. 내ㆍ외장재 부품 해체과정에서는 외ㆍ내장 부품을 해체하고 소재별로 분리하는 작업이 이뤄지며 라디에이터를 비롯해 발전기, 파이프 등 엔진룸의 부품을 해체하는 엔진룸 해체과정을 거쳐 차체를 70도 각도로 세워서 엔진과 차 하반부의 부품을 해체하는 `반전작업'과 자동차 푸품을 모두 제거한 자동차의 빈 틀을 강력한 압력기로 눌러 고철 덩어리로 만드는 차피 압축 과정으로 이어진다. 박 박사는 "이 시스템은 폐차, 부품, 정보의 흐름을 통합관리하고 해체 단계별 필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해체작업을 지원하며 특히 이동성이 요구되는인수.검사 작업장은 모바일 장비가 적용됐다"면서 "환경 오염을 줄이고 폐차 수익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이정내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