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천 `건설민관協 구성` 대형사업 지원 본격화

인천시와 지역 건설업계는 앞으로 10년간 인천지역에 송도, 영종도 등 경제자유구역개발을 비롯 지하철, 신항만 건설 등 대형 개발프로젝트들이 본격 시행됨에 따라 100조원의 건설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고 건설경기 활성화에 본격 나섰다. 7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시의회, 건설관련 협회 및 전문가 등으로 조직되는 민관추진협의회(이하 민관협)를 구성, 관내 발주공사에 대한 지역 건설업체 참여율을 높이고 경쟁력 강화를 골자로 한 조례를 올 상반기중 상정하는 등 체계적인 지원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민관협은 우선 주택공사와 토지공사 등 정부 투자기관에서 발주하는 공사수주를 목표로 시장 협조 공한문 발송과 우수업체 추천 등 민관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는 것이다. 또 국내 유수의 1군 대형업체에 지역 우수 시공업체를 발굴, 데이터베이스(DB)화 하는 등 지역 전문건설업체 참여 폭을 넓히도록 할 예정이다. 시는 건전한 건설시장 확립을 위해 일반ㆍ전문건설업체 간 겸업 제한 완화와 의무하도급 폐지, 페이퍼 컴퍼니 퇴출, 저가 하도급 심사 의무화 등을 적극 시행한다. 시와 업계에 따르면 현재 지역업체 하도급 비율이 30.7%로 인천이 6대 광역시 중 하도급 비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하도급 비율이 가장 높은 대구시의 50.7%에 비해 20%나 적은 수치며 6대 광역시 평균 42%에도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현재 1군 업체들은 하청 업체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사를 수주하기 때문에 지역 건설업체들이 관련 시장을 뚫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 지역업계의 애로점이다. 시 관계자는 “앞으로 10년간 100조원의 건설시장을 외부업체가 도맡을 경우 자금 역외유출로 정작 인천은 아무런 특혜도 못 본다”며 “이런 현상을 막기 위해서라도 민관협을 시급히 마련해 대응에 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김인완기자 iykim@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