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대법 "타임오프 한도 고시는 적법"

민노총 패소 원심 확정

유급 근로시간면제한도(타임오프)제의 세부 기준을 정한 정부 고시는 적법하다는 대법원의 확정 판결이 나왔다.

타임오프제는 지난 2010년 7월 처음 도입됐으며 노조 전임자에 대한 급여 지급을 금지한 노조법을 따르면서도 노조활동 위축을 막기 위해 근로시간면제심의위원회가 정한 한도 내의 활동에는 임금을 주도록 한 제도다. 구체적 범위는 근면위가 정해 노동부(현 고용노동부)가 고시한다.


대법원 2부(주심 김소영 대법관)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과 김영훈 전 민노총 위원장 등 8명이 고용노동부 장관을 상대로 낸 근로시간면제한도 고시 무효확인 소송 상고심에서 원고 패소로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고 8일 밝혔다.

관련기사



재판부는 "회의가 자정을 넘겨 의결했다고 하더라도 노동계·경영계 위원이 가진 심의·의결권이 소멸된다고 할 수 없으므로 의결이 위법하다고 할 수 없다"며 "심의·의결에 절차적 하자가 없고 설령 일부 하자가 있더라도 그 하자가 중대하고 명백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판시했다.

근면위는 제도 시행을 앞둔 2010년 4월30일 여러 번 회의를 열었지만 확정안을 만들지 못하다가 5월1일 오전2시50분께 사업장 조합원 수에 따른 근로시간 면제한도를 정했다. 노동부는 이 내용을 같은 달 14일 고시했다.

이에 노동계는 "노조법 부칙상 4월30일을 넘기면 5월1일 이후에는 국회의 의견을 들어 공익위원만으로 심의·의결해야 하는데도 국회의 의견을 듣지 않고 경영·노동계 위원이 의결했으므로 하자가 중대해 고시는 무효"라며 소송을 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